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논란의 영어'상용'도시 부산, 이대로 괜찮을까
튼씩이
2023. 9. 29. 11:31
영어상용도시란 무엇인가
영어하기 편한 도시, 영어상용도시. 모두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 교육감이 2030년 세계 박람회를 앞두고 내놓은 정책이다. 해당 정책은 박형준 부산시장의 주요 공약으로, 2022년 8월 정책 발표 후 전국의 국어 단체와 부산 시민 단체의 반발이 일자, 11월‘영어상용도시’의 명칭을 '영어하기 편한 도시'로 변경해 추진했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 교육감이 내놓은 전략은 4가지로, △부산형 영어 공교육 혁신 △시민 영어역량 강화 △영어상용도시 인프라와 환경 조성 △영어상용도시 공공부문 선도이다. 특히 영어 공교육 혁신을 위해 ‘부산형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영어 교원 전문성 강화 및 원어민 교사 확보·관리, 교육과정 내외 영어교육 활성화, 영어 동아리 운영 지원 및 국제교류 등으로 영어 체험프로그램 확대’ 등의 계획을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민들의 사교육 부담을 완화하고, 어디서나 편리하게 영어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중심지 조성과 기업 유치,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부산시 입장이다.
시민이 아닌 외국인을 위해 시작한 정책이라고?
전략을 살펴보면 마치 부산시민을 위한 정책 같지만, 사실 이러한 정책이 시작된 이유는 따로 있다. 육회를 ‘six times', 곰탕을 'bear stew'로 표기하는 등, 과거 국내 한식당에서 메뉴판에 엉터리 영어 번역문을 병기한 일이 언론 보도를 통해 크게 알려진 적이 있었다. 많은 이들이 웃고 넘어갔지만, 이를 계기로 우리말의 영어 번역문이 세간의 관심을 받았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불친절한 영어 표기 때문에 불편을 느낄 수 있어서였다.
지자체들은 영어를 공영화처럼 사용해 외국인들이 불편하지 않게 머물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한다면, 궁극적으로 국제 행사나 외국 기업 유치 등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특히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는 경제자유구역에 조성된 국제도시이기에 영어를 적극 활용하는 정책을 추진한 것이다.
하지만 지자체의 급격한 영어 상용화 추진은 시민 단체 등의 반발을 일으켰다. 무분별한 외국어 사용으로 우리말과 문화의 정체성이 훼손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