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위치한 「세종 한솔동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 「세종 한솔동 고분군」 전경
「세종 한솔동 고분군」은 2007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 과정에서 백제시대 주거지와 다수의 옛 무덤 등이 발굴되어, 2014년에 역사공원으로 조성된 뒤 2022년에 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되던 유적이다. 백제의 웅진 천도(475년) 전후에 축조된 48기의 옛 무덤 가운데 굴식돌방무덤 7기와 돌덧널무덤 7기가 현재 정비되어 있다.
* 굴식돌방무덤: 횡혈식 석실묘(橫穴式 石室墓). 무덤방으로 들어가는 석축 측면 통로를 갖춘 무덤
* 돌덧널무덤: 석곽묘(石槨墓). 통로 없이 석재로 벽을 만든 무덤

▲ 「세종 한솔동 고분군」 1호분

▲ 「세종 한솔동 고분군」 2호분
그 가운데 특히 2호분으로 불리는 무덤은 같은 시대의 다른 굴식 돌방무덤에 견줘 그 규모가 크고, 묘도 출입석이 놓인 길고 경사진 통로가 있으며, 통로와 무덤방이 모두 지하에 만들어져 있는 등 기존의 굴식돌방무덤에서 보기 힘든 다양한 특징들이 확인된다.
* 묘도 출입석(墓道出入石): 굴식돌방무덤에 시신을 안치할 때 만드는 임시 통로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돌
인근 나성동 도시유적 및 토성과 더불어, 거대하고 정교한 고분의 존재를 통해 이 지역을 거점으로 한 지방 세력이 존재하였음을 추정 할 수 있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적인 배경과 값어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유산청은 30일 동안의 예고 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세종 한솔동 고분군」의 사적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얼레빗 제5099호) 내일은 단오, 세시풍속 단오장ㆍ부채 선물하기 (2) | 2025.05.30 |
|---|---|
| (얼레빗 제5098호) 우리말 ‘온ㆍ즈믄’은 ‘백ㆍ천’에 짓밟혀 (0) | 2025.05.30 |
| 먼지 '풀풀' 할 때 그 '풀풀'? (0) | 2025.05.29 |
| '풀치다'는 '풀을 베다'? (0) | 2025.05.28 |
| '풀매듭'은 어떻게 묶죠? (0)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