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236

'푸접'은 '푸대접'의 준말?

푸접: 남에게 너그럽고 따뜻이 대하는 됨됨(태도, 성질)보기월) 그 아이는 푸접이 있게 굴어서 어른스러워 보였습니다. '푸접'이란 말을 들어 보셨을까요?이 말은 처음 본 사람 가운데 "'푸대접'의 준말 아니야?"라고 되묻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오늘은 '푸접' 이야기를 해 드립니다. 아이가 아이답게 말하고 움직이는 것을 두고 뭐라고 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그런데 아이가 아이답지 않게 다른 사람을 너그럽고 따뜻하게 마주하는 것을 보면 놀랍기도 합니다. 어제 그런 아이를 보았습니다. 할머니와 함께 어디를 가는 것 같았는데 할머니를 보는 눈빛과 하는 말이 참 따뜻하게 느껴졌답니다. 그런 아이를 보고 쓸 수 있는 말이 '푸접'입니다. "그 아이는 푸접이 있게 굴어서 어른스러워 보였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

(얼레빗 제5093호) 세종에게 악역을 마지않았던 황희

“유정현(柳廷顯)을 의정부 찬성으로 삼고, 유관(柳觀)을 의정부 참찬으로, 황희(黃喜)를 이조 판서로, 박신(朴信)을 병조 판서로, 윤향(尹向)을 형조 판서로, 성발도(成發道)를 판한성부사로, 심온(沈溫)을 호조 판서로, 정역(鄭易)을 예조 판서로 삼았다.” 이는 《태종실록》 29권, 태종 15년(1415년) 5월 17일 기록입니다. 여기 태종이 이조판서로 삼았던 황희(黃喜, 1363~1452)는 태종(太宗)이 양녕대군을 폐위시키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세종)을 세자로 지명할 때 반대해 태종의 분노를 사서 서인으로 폐해지고 유배에 처할 정도였습니다. 세종이 그런 황희를 등용하려 할 때 많은 중신이 반대하자 황희의 행동이 "충성스럽지 않다고 볼 수 없다."라며 이를 일축했습니다. 그 뒤 황희는 단연 세종대..

'푸섶길' 좋아하세요?

푸섶길: 풀과 섶이 우거진 길보기월) 요즘도 푸섶길을 좋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곧 빗방울이 떨어질 것 하늘을 보고 들어왔는데 밖을 보니 비가 내리는가 봅니다. 곳에 따라 많은 비가 내리는 곳도 있을 거라고 하네요. 살면서 보거나 듣지 못한 말을 만났을 때 아주 반가워하는 분을 만나곤 합니다. 앞서 알려드린 '남새'를 보시고 어렸을 때가 생각나 좋았다는 분도 계셨습니다. 오늘 알려드리는 말을 보시고 반가워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푸'는 '풀'이라는 것을 아실 것이고 '섶'은 '잎나무, 풋나무, 물거리 따위의 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랍니다. "섶을 지고 불로 들어가려 한다"는 옛말에 들어 있는 말이죠. 이처럼 풀과 나무가 우거진 길을 '푸섶길'이라고 합니다. '푸섶길'이 무서워서 가고 싶..

몸에 좋은 '푸성귀' 많이 먹어요~

푸성귀: 사람이 가꾼 남새와 저절로 난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보기월) 몸에 좋은 푸성귀를 많이 먹어야겠습니다. 제가 토박이말을 알려드리다 보니 졸가리가 서지 않는 말을 갈무리해 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구요. 풀과 푸새, 나물, 남새, 푸성귀를 좀 가려 달라고 말이죠. '풀'과 '푸새'는 같은 말입니다. '푸새'의 '새'는 '억새'의 '새'와 같은 걸로 보시면 됩니다.뫼와 들에 저절로 난 것이 '풀', '푸새'라면 '풀', '푸새' 가운데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나물'이라고 합니다. '나물'에는 뫼와 들에서 저절로 난 것도 있지만 사람이 심어 가꾼 '남새'도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남새와 나물을 싸잡아 '푸성귀'라고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야채'는 '나물'로 '채소'는 '남..

(얼레빗 제5092호) 628년 전 오늘 세종임금 태어나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의 휘(생전 이름)는 도(祹)요, 자(사람의 본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는 원정(元正)이니, 태종공정대왕(太宗恭定大王)의 셋째 아들이요,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다. 태조(太祖) 6년 정축 4월 임진에 한양(漢陽) 준수방(俊秀坊) 잠저(潛邸, 왕위에 오르기 전 살던 집) 에서 탄생하였으니, 명나라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홍무(洪武) 30년이다. 영명(英明, 뛰어나게 지혜롭고 총명함) 강과(剛果, 굳세고 결단력 있음))하고, 침의(沈毅, 침착하고 의지가 강함) 중후(重厚)하며, 관유(寬柔, 너그럽고 부드러움) 인자(仁慈) 공검(恭儉, 공손하고 검소함)하고, 또 효도하고 우애함은 천성이 그러하였다.“ 위는 《세종실록》 총서에 나와 있는 세..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

남새: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보기월)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 배곳 텃밭에 심은 씨앗이 제대로 싹이 트지 않아서 새로 모를 사서 심기로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밭에 남새를 심어 가꾸는 것을 즐기곤 합니다.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이 '남새'입니다. 그리고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앞서 알게 된 '푸새'가 저절로 난 것이고 '남새'는 사람이 일부러 심어 기르는 것이 다름을 잘 알 수 있습니다.남새를 가꾸는 사람들에게 푸새를 뽑는 일은 작은 일이 아니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얼레빗 제5091호) 제주목사 이형상, 정방폭포를 구경하다

漢挐山以下 한라산에서 아래로 흘러松盤奇古節 도사린 소나무는 빼어난 옛날의 절개로南北正方淵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정방연巖謝倒流川 바위에서 물러나 흐르는 시내에 넘어질 듯하네碧海蒼天外 파란 바다는 푸른 하늘 밖에 있고夕照浮雲擁 저녁노을은 떠도는 구름에 에워졌는데青山白雪邊 푸른 산은 흰 눈 가장자리에 있네.西歸昨夜煙 서귀진은 어젯밤 안개에 쌓여있구나 ▲ 이형상의 보물 가운데 ‘정방탐승(正方探勝)’ 이 시조는 1702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한 이형상(李衡祥, 1653~1733) 목사가 쓴 정방연(正方淵)」이란 한시입니다. 이형상은 제주에 목사로 부임하여 곳곳을 돌아보고 남긴 중요한 순간들을 1703년 화공(畫工) 김남길(金南吉)에게 그리게 하여 보물 란 화첩을 남겼습니다(국립제주박물..

「봉은사 생전예수재」 국가무형유산 지정 예고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봉은사 생전예수재」를 국가무형유산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하고, (사)생전예수재보존회(대표 김종민)를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한다. 또한, 국가무형유산 「영산재」 전승교육사 이병우(李秉祐, 서울 서대문구) 씨를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한다. ‘생전예수재’는 ‘살아서(生前) 미리(預) 덕을 닦는(修) 재(齋)’라는 의미로, 살아 있는 자가 사후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례다. 앞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영산재(1973), 수륙재(2013)와 함께 불교를 대표하는 천도의식으로 자리 잡아 왔다. ▲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된 봉은사 생전예수재 봉송회향 장면 ▲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된 봉은사 생전예수재 택전의식 장면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봉은사 생전예수재」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어요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새 푸새: 뫼(산)와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보기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오늘 아침 하늘도 숨씨(공기)가 참 맑습니다. 깊게 숨을 들이 쉬었더니 힘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 빗물을 먹어서 그런지 뫼와 들에 난 푸새들도 훌쩍 자라 보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그렇게 시나브로 자라고 있겠지요? '푸새'는 '잡초(雜草)'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흔히 '풀'이라고도 하지만 '푸새'라는 말도 알맞게 써 보시면 말맛과 글맛을 새롭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