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상식] 띄어쓰기: 단음절어가 이어질 때 https://youtu.be/IgFW3ZlvFto 2020년 5월 29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2022.05.08
문장 부호 전문 (11) - 21. 줄임표 21.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 쓴다. (예) “어디 나하고 한번…….” 하고 민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예) “빨리 말해!” “…….” (3)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쓴다. (예) ‘고유’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본디부터 있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 같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7
문장 부호 해설 - 21. 줄임표(……) (2) (4)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예) “우리는 모두…… 그러니까…… 예외 없이 눈물만…… 흘렸다.” 머뭇거림을 보일 때는 줄임표를 쓴다. 두 어구 사이에 얼마간의 동안이 있음을 나타낸다. (6) 저기…… 있잖아…… 나…… 너한테 할 말이 있어. [붙임 1] 점은 가운데에 찍는 대신 아래쪽..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7
문장 부호 해설 - 16. 붙임표(-) (1)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쓴다. (예) 멀리뛰기는 도움닫기-도약-공중 자세-착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예) 김 과장은 기획-실무-홍보까지 직접 발로 뛰었다.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는 붙임표를 쓴다. (1) 우리..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20
문장 부호 해설 -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소제목, 그림이나 노래와 같은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국어 기본법 시행령」은 「국어 기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예) 이 곡은 베르디가 작곡한 「축배의 노래」이다. (예) 사무실 밖에 「해와..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8
문장 부호 해설 -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책의 제목이나 신문 이름 등을 나타낼 때 쓴다. (예)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이다. (예)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 ≪한성순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예) 윤동주의 유고 시집인 ≪하늘과 바람..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7
문장 부호 해설 - 12. 대괄호([ ]) 종전 규정에는 대괄호가 ‘〔 〕’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개정안에서는 ‘[ ]’로 바뀌었다. 개정 이전부터 ‘〔 〕’는 잘 쓰이지 않고 ‘[ ]’가 주로 쓰여 온 것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형태를 ‘[ ]’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 〕’를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이나 편집 등..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6
문장 부호 해설 - 11.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예) 주격 조사 (예) 국가의 성립 요소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는 중괄호를 쓴다. (1) 연극의 3요소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예) 아이들이 모..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5
문장 부호 해설 - 9. 작은따옴표(‘ ’) (1)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쓴다. (예) 그는 “여러분!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 들어 보셨죠?”라고 말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인용한 말 속에 들어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는 작은따옴표를 쓴다. 인용한 말이므로 큰따옴표를 쓸 만하지만, 바깥쪽의 큰따옴표와 ..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