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30일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는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 봄의 전령사 복수초, 무등산에서 첫 개화”라는 보도자료를 냈고. 2월 2일에는 국립산림과학원이 “띵동! 봄소식 전하는 복수초가 왔어요”라는 이름의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복수초’라 함은 언뜻 들으면 이 예쁜 꽃에 웬 원한이 있다고 ‘복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원한을 갚는 복수(復讐)가 아니라 복수(福壽) 곧 복과 목숨을 뜻하는 것으로 일본 사람들이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따라 부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복수초를 요즘은 ‘얼음새꽃’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매화보다도 더 일찍 눈을 뚫고 꽃소식을 전하는 얼음새꽃이지요. 예쁜 우리말 이름을 놔두고 일본식을 따라 부르는 것으로 큰개불알꽃(봄까치꽃), 개불알꽃(복주머니난), 며느리밑씻개(가시덩굴여뀌) 따위가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오랫동안 써왔으니까 그대로 불러야 한다고 하지만 우리말로 된 예쁜 꽃이름을 놔두고 일본말을 굳이 쓰려는 것은 민족의식이 없는 탓일 것입니다.
▲ 눈을 뚫고 핀 얼음새꽃(사진작가 이명호 제공)
“모진 겨울의 껍질을 뚫고 나온 / 핏기 어린 꽃의 날갯짓을 봐 / 햇살 한 모금에 터지는 신(神)의 웃음을” 한현수 시인은 얼음새꽃을 이렇게 노래합니다. 모두들 봄이 아니라 할 때 나긋나긋 세상을 흔들며 꽃을 피우는 얼음새꽃에는 신의 웃음이 엿보입니다. 아직 꽃샘추위가 오는 봄을 시샘하고 있지만 얼음새꽃은 그 추위를 밀어내면서 봄이 왔다고 그 작은 몸짓을 더 살랑살랑 흔들어 줍니다. 매화보다도 더 일찍 눈을 뚫고 꽃소식을 전하는 얼음새꽃이지요.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와 사죄의 기록, 나와 한국》 한국어판 나와 (2) | 2024.02.07 |
---|---|
우익 손에 부서진 조선인 추도비, 재건 맹세한 이들 (0) | 2024.02.07 |
(얼레빗 제4913호) 오늘(02.04.) 입춘, 버들강아지 움이나 틔웠는지 (0) | 2024.02.05 |
문경 돌리네 습지, ‘람사르 습지’로 등록 (0) | 2024.02.04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16,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누다’와 ‘싸다’ (0)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