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유의 무술이자 민속놀이에는 독특한 움직임으로 다리걸기, 발차기, 던지기 등의 기술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택견’이 있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택견’이라고 나오지만, 대한체육회에는 ’태껸‘으로 올라 있으며, 탁견, 택기연(擇其緣), 착견, 각희(脚戱), 비각술(飛脚術)로 불리기도 합니다. 또 이 ’택견‘은 1983년 6월 1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그에 따라 택견’을 수련하는 체육관을 도장으로 부르지 않고 ’전수관(傳修館)’이라고 부릅니다.
택견이 문헌상 처음 나타난 시기는 18세기 초반으로 당시는 ‘탁견(托肩)’이라고 했는데 영조 4년(1728)에 김민순(金敏淳)이 쓴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사설시조에서 처음 보이지요. 이후 정조 22년(1798)에 이만영이 펴낸 《재물보(才物譜)》와 최영년이 1921년에 쓴 《해동죽지(海東竹枝)》에도 탁견이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우리 문헌뿐만 아니라 1895년에 스튜어트 쿨린이 쓴 《코리언 게임스》에도 ‘HTAIK-KYEN-HA_KI(택견하기)’ 기록이 등장하지요.
▲ 유숙(劉淑)의 <대쾌도(大快圖)> 부분,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그림 윗부분에 택견하는 모습이 보인다.
택견의 수련과정은 크게 혼자 익히기(개인 수련), 마주메기기(상대 수련) 등이 기본이며, 이 과정을 거친 뒤 하는 견주기(겨루기), 본때뵈기(품새 또는 형) 등의 과정이 있습니다. 또 택견의 세부 동작이나 기술은 모두 우리말로 되어 있어서 우리 고유의 무술임이 분명 합니다. 그 밖에 택견은 다른 무술에 비해 질박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곡선의 몸놀림으로 공격이나 방어하는 점이 특별합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923호)마을에서 잘못한 사람을 벌하는 ‘조리돌림’ (0) | 2024.03.09 |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22,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마개’와 ‘뚜껑’ (1) | 2024.03.08 |
3월의 독립운동가, 3・1운동 도운 호주 독립운동가 (1) | 2024.03.05 |
(얼레빗 제4921호) 고려 후기 불교미술의 정수 <화엄경> (1) | 2024.03.04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21,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뛰다’와 ‘달리다’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