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 겨레의 명절 설날이면서 십이지(十二支) 날 가운데 ‘갑진일(甲辰日)로 새해 ‘첫 용날’ 곧 상진일(上辰日)입니다. 이날 새벽 하늘에 사는 용이 땅에 내려와 우물에 알을 풀어놓고 가는데 이 우물물을 가장 먼저 길어다가 밥을 지어 먹으면, 그 해 운이 좋아 농사가 대풍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부녀자들은 이날 남보다 먼저 일어나 우물물을 길어오기에 바빴지요. 《동국세시기》에는 이러한 풍습을 ‘용알뜨기’라 했습니다. 용의 알을 먼저 떠간 사람이 그 표시로 지푸라기를 잘라 우물에 띄워두면 다음에 온 사람은 용의 알이 있을 딴 우물을 찾아갑니다.
▲ 첫용날, 우물물을 가장 먼저 길어오는 ‘용알뜨기’(그림 오희선 작가)
그런데 전라남도 어떤 지방에서는 첫용날에 우물에 가서 물을 길어오지 않는데 만일 물을 길어오면 농사철 바쁜 때 큰비가 내려 홍수가 난다고 믿었으며, 어촌에서는 어장(漁場)에 해를 입는다고 생각했기에 이런 지방에서는 첫 진일 전날에 집집이 물을 넉넉히 길어다 두었습니다.
또 첫용날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용의 머리털처럼 길어진다고 해서 이날 여인들은 머리를 감았으며, 농가 아이들은 콩을 볶아서 가지고 다니면서 먹었는데 그렇게 하면 그해 곡식에 좀이 슬지 않는다고 믿었지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은 비가 골고루 내려 풍년이 들게 하기 위해서는 수신(水神)으로서의 용신(龍神)을 잘 섬겨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첫용날(상진일)은 한 해 농사의 풍흉과 관계가 있다고 믿어 풍년을 비손하는 민속행사를 열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18,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는개(비)’와 ‘느리(눈)’ (2) | 2024.02.10 |
---|---|
(얼레빗 제4916호) 갑진년 새해 인사 (0) | 2024.02.10 |
《감사와 사죄의 기록, 나와 한국》 한국어판 나와 (2) | 2024.02.07 |
우익 손에 부서진 조선인 추도비, 재건 맹세한 이들 (0) | 2024.02.07 |
(얼레빗 제4914호) 봄을 불러오는 얼음새꽃, 복수초라 부르지마 (1) | 2024.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