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세상사는 이야기

2019년 3월의 독립운동가 손병희 선생

튼씩이 2019. 3. 2. 13:52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손병희(1861.4.8.~1922.5.19.) 선생을 2019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고 밝혔다. 선생은 1861년 충북 청원(청주)에서 출생하여 1882년 동학에 입문하였다. 1894년 호서지방 중심의 북접(北接) 사령관인 통령(統領)에 임명되어 남접의 전봉준과 함께 동학농민혁명의 기수로서 활약하기에 이른다.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고 국권을 수호하고, 또 회복하기 위해 민족을 계몽하는 운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선생은 보성학교와 동덕여학교를 비롯한 수십 개의 남녀학교를 인수 또는 신설하여 운영함으로써 민족의 동량을 육성하였다.

 

손병희 선생(1861.4.8.∼1922.5.19.), 대한민국장(1962) - 사진제공 : 독립기념관

▲ 손병희 선생(1861.4.8.∼1922.5.19.)

대한민국장(1962) - 사진제공 : 독립기념관


 


선생은 1919년 1월 동경유학생의 2.8독립선언계획, 신한청년당 및 기독교계의 독립운동 계획을 듣고 독립선언 방식의 운동을 벌이기로 결정하였다.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시위를 펼침으로써 독립에 대한 열망을 알리고, 일본의 정부와 귀족원ㆍ중의원, 조선총독부 파리강화회의의 열국의 대표에게 한국의 독립에 대한 의견서와 청원서를 보내기로 하였다.

 

선생은 권동진, 오세창, 최린과 3.1독립운동의 골간이 된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화의 3대원칙에 합의하고 각 교계의 중심인사들을 규합해 갔다. 이윽고 최남선이 기초한 독립선언서와 청원서 등이 완성되자 선생은 직접 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천도교계와 기독교계의 검토가 이루어진 뒤, 천도교의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독립선언서가 인쇄되었다.

 

1919년 2월 27일, 민족대표가 독립선언서에 날인하였고 2월 28일 자신의 집에 천도교, 기독교, 불교의 민족대표를 불러 협의하여 독립선언서의 발표 장소를 탑골공원에서 태화관으로 바꾸었다.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거나 배포하면 소동이 일어나 왜경이 방해할 것을 걱정한 것이다.

 

손병희 선생 유묵, 사진제공 : 독립기념관
▲ 손병희 선생 유묵, 사진제공 : 독립기념관

 

거사일인 3월 1일, 선생은 태화관에 모인 28인과 함께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선언식을 마친 후 일경에 연락하여 자진 체포되었다. 그렇지만 선생과 다른 민족대표가 점화한 3.1만세운동은 이후 요원의 불길처럼 온 나라 곳곳으로 떨쳐나갔고 중국, 러시아, 미국 등 한국인이 살고 있는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선생은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언도받았고 서대문형무소에서 2년의 옥고를 치르다가 뇌출혈로 가출옥하였으나 1922년 5월 19일 생을 마감하였다. 선생의 유해는 서울 우이동 언덕에 안장되었고 1966년 민족의 얼이 깃든 탑골공원에 선생의 동상이 세워져 독립된 국가의 앞길을 지켜보고 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