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쉼표,마침표(국립국어원 온라인소식지)

한글 위인 열전 - 우리글과 역사를 사랑한 권덕규

튼씩이 2022. 7. 11. 07:59

“조선은 예부터 국문이 있었으니 신지비사(神誌秘詞)는 그것이 어떤가는 알지 못하나… 세종 25년에 정음청을 궁중에 두고… 예전부터 내려온 문자를 정리하고 연구하고 골라 자모 28자를 정하여… 국민에게 반포하니 이것이 즉 훈민정음(즉 언문이라 함.)이라. 세계 문자 가운데 가장 신식의 것으로 동양의 알파벳식 문자로 그 정교함이 문자의 역사상 특별히 뛰어난 것이다.” 

- 권덕규의 ≪조선유기≫ 중에서

 

암흑 속에서도 빛났던 자긍심

권덕규는 1913년 서울 휘문의숙을 졸업하고 모교와 중앙학교·중동학교에서 우리글과 우리 역사를 가르쳤다. 주시경의 뒤를 잇는 국어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1921년 12월 3일 조선어연구회 창립에 참여하였다. 그 뒤 조선어학회의 역사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는 ≪큰사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932년 12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원안을 작성하였다. 수많은 신문·잡지에 논문과 논술을 발표하였으며, 한글 순회 강습 등에 온 힘을 기울였다.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 위원, 조선어철자위원회 위원, 조선어학회의 표준어 사정 위원, 조선어사전 편찬 위원 등을 맡으면서 암담하기만 했던 일제 강점기 한글 연구에 큰 역할을 하였다. 저서로는 ≪조선어문경위(朝鮮語文經緯)≫(1923), ≪조선유기(朝鮮留記)≫(1924) 및 ≪을지문덕≫(1948) 등이 있다.

 

시대와 함께 고민하고 행동했던 기인

권덕규는 학자이자 교육자로 알려져 있지만 당대의 기인으로도 유명했다. 1920년 동아일보에 ‘가짜 명나라 사람 머리에 몽둥이 한 대’라는 논설을 발표하며 조선의 유학자들이 자주정신을 잃고 있음을 통렬하게 비판하여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든 일화는 유명하다.

권덕규는 <조선어 연구의 필요>(동아일보, 1922. 4. 1.)에서 자신의 연구 단계를 3단계로 설정하였는데, 첫째 ‘실용’, 둘째 ‘과학’, 셋째 ‘응용’이었다. 즉 말과 글을 자유롭게 구사하고 적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실용 단계’, 언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 단계’, 고대의 언어, 문자, 문학 등을 통해 인문 발달의 과정을 탐구하는 ‘응용 단계’이다. 그는 자신만의 연구 단계를 통해 중국과 차별되는 우리 민족의 독창성과 유구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시각은 훈민정음 이전에 조선의 고유 문자가 있었고, 세종은 이를 정리하여 한글을 반포하였다는 그의 우리말 논리에서도 잘 드러난다.

권덕규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일제에 의해 투옥되고, 유학자들에게 지탄받고, 죽음조차 행방불명으로 분명치 않다. 그러나 우리 민족에 대한 그의 애정은 우리글에 대한 사랑, 우리 역사에 대한 사랑으로 늘 빛났다. 광복 직후 한글로 풀어 쓴 국사 교과서 ≪조선사≫1)가 최현배의 ≪우리말본≫과 더불어 큰 인기를 얻은 것은 그의 우리말, 우리 역사에 대한 사랑이 억압받던 우리 민족에게 얼마나 절실한 것이었던가를 짐작하게 해준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권덕규의 우리말, 우리 역사에 대한 사랑은 소중히 이어가야 할 유산이다.

≪큰사전≫ 한글학회가 엮어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한 대규모 국어사전. 순우리말·한자 말·외래어·관용어·사투리·은어(변말)·곁말을 비롯하여 고유 명사·전문어·제도어·고어(옛말)·이두 등 총 16만 4,125개 어휘를 수집하여 국어로 뜻풀이하였다. 1929년 10월 31일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어 작업에 들어간 지 28년 만인 1957년 10월 9일 완간되었다.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공표하여 1948년에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한 정서법(正書法)통일안이다. 총론 3항, 각론 7장 63항, 부록 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권덕규가 지은 고구려 역사서인 ≪조선유기≫를 하나로 엮은 책.

2) 1998년 한국출판연구소가 꼽은 ‘건국 이후 베스트셀러 50선’에서 1950년의 베스트셀러로 선정됨.

 

※ 참고 자료

"권덕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권덕규",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1923.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권덕규", ≪두피디아 두산백과≫, www.doopedia.co.kr, 2010.

[사진 출처]

한글학회, 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