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간척농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시키는 시대

튼씩이 2023. 12. 1. 15:34

충청남도 서산만 간척 사업은 1980년 5월에 공사를 시작하였다. 당시만 해도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이라 갯벌을 논으로 만들면 경제성이 있다고 보았다. 현대건설이 공사를 하던 중 1984년 2월에 방조제 공사의 마지막 물막이 단계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9m에 달하는 조수 간만의 차와 초당 8.2m의 빠른 유속으로 승용차만 한 바윗덩어리도 흔적 없이 떠내려가기 때문이었다.

 

▲ 서산 간척지 안내도

 

이때 현대건설의 정주영 회장은 기상천외한 방법을 생각해 내었다. 정 회장은 23만 톤 급 폐유조선(길이 322m, 높이 27m)을 울산에서 끌고 와서 물을 가득 담아 가라앉혀 물막이 공사를 성공적으로 끝냈다. 고정 관념의 틀을 깨는 이 기발한 공법은 ‘정주영 공법’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건설계의 찬사를 받았다. 서산 간척지는 1986년 5월에 시범 영농을 개시했으며, 1995년 8월 14일 공사기간 15년 3개월이라는 대역사(大役事)를 마감했다.

 

▲ 서산 간척지와 정주영 공법

 

정주영 회장은 1998년에 서산 간척지(현대그룹 서산농장)에서 기른 소 1,001마리를 몰고 판문점을 넘어 방북길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어릴 적 아버지가 소를 팔아서 갖고 있던 돈(70원)을 훔쳐 가출하여 사업을 시작하였다. 정주영 회장은 생전 서산농장을 찾을 때마다 “(서산농장은) 내게 농장 이상의 의미가 있는 곳이다. 내가 마음으로 아버지를 만나는 성지 같은 곳”이라고 회고했다고 한다.

 

중앙일보 (2023.02.28.) 보도에 따르면 서산시는 서산 간척지에 정주영 회장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간척지 역사를 청년 세대에게 알리고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목적이다. 이완섭 서산 시장은 이런 뜻을 현대그룹에도 전달했다.

 

이완섭 시장은 2022년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뉴욕에 가면 소 동상이 있는데 전 세계인이 가서 (소를) 만지고 사진을 찍는다”라며 “밀짚모자를 쓴 정주영 회장이 소고삐를 잡고 북한 쪽으로 걸어가는 동상을 세우자”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충남 서산시 부석면 주민들은 대대로 바다에 기대어 살아왔다. 그러나 풍랑에 물귀신이 된 이가 적지 않다 보니 바다가 지긋지긋해서 농사꾼이 되는 게 소원일 때가 있었다. 정주영 회장 덕분에 어느 날 바다가 육지가 되는 기적이 일어났다. 서산만에 새로 생긴 논은 4,660만평에 달했고, 여기서 생산되는 쌀은 50만 명이 1년 동안 먹을 수 있는 54,000톤으로서 식량자급에 크게 이바지했다.

 

세월이 흘러서, 서산만 간척 사업으로 30년 이상을 농사꾼으로 살아온 주민들에게 문제가 발생했다. 간척농지 3,745ha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부남호가 수원 부족과 수질오염으로 2019년부터 수질이 6등급(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10mg/L 이상) 이하로 악화하면서 농업용수의 기능을 잃었기 때문이다.

 

양승조 전 충남 도지사는 2019년에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남호 역간척을 해양생태계 복원 모델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양승조 지사는 “충남에만 하구언 둑(방조제) 279개가 있지만, 둑이 물의 흐름을 막아 안쪽 민물 호수의 수질오염이 심각하다”라며 “둑 일부를 헐어 바닷물이 드나들게 해 연안과 하구언의 생태를 복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역간척이란 간척농지를 다시 갯벌로 복원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역간척은 간척사업으로 국토를 확장한 대표적인 나라인,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1961년에 잔트크리크 방조제를 건설하여 해수 범람을 막고 휘어스호가 생겨났는데, 이 호수의 수질오염이 심각해졌다. 결국 2004년에 세계 처음 간척지를 습지로 복원하였다. 역간척을 위해 방조제를 해체할 필요는 없다.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방조제에 해수 유통을 위한 터널을 만들어 조류에 따라 해수가 드나들게 하면 된다.

 

양승조 지사는 역간척 사업 벤치마킹을 위해 네덜란드 휘어스호 등을 다녀왔다. 휘어스호는 바다를 막아 만들어진 1억 1,000만t 규모의 담수호다. 이 담수호는 2000년대 들어 심각하게 수질이 나빠지면서 이해관계자 간 논쟁 끝에 방조제에 터널을 뚫기로 했다. 해수 유통 3달 만에 수질을 회복했다고 한다.

 

양승조 지사는 "부남호는 2007년부터 매년 110억 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수질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데 휘어스호처럼 바닷물을 들어오게 하면 수질 개선 사업비 절감은 물론, 갯벌 복원에 따라 연간 288억 원의 어민 소득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도는 이미 일부 역간척사업을 시도해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2011년 안면도와 황도를 잇는 방조제를 헐고 교량으로 바꾼 뒤 갯벌이 되살아났다. 황도 갯벌의 바지락 채취량이 2014년 41톤에 그쳤던 게 이듬해 122톤으로 늘었다. 이후 황도 갯벌은 조개 잡기 등 갯벌체험 관광지로 탈바꿈했다.

 

김태흠 현 충남지사는 역간척 사업에 대해 “산업화와 개발의 시대에 간척사업은 더 잘 살기 위한 생존전략, 바다를 육지로 만드는 것은 식량 증산 기회이자 국토 확장 방법이었다”라며 “이제는 환경과 개발이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국가적 차원의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부남호 역간척 사업은 태안군 남면 당암리와 서산시 부석면 창리를 잇는 서산B지구방조제 (길이 1228m) 아래로 기존의 수문 이외에 또 다른 수문을 만들어 민물(담수)과 바닷물(해수)을 유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충청남도는 전체 방조제 길이의 10% 정도인 120m 정도만 허문다는 계획이다. 사업비는 모두 2,500억 원이 들 전망이다. 충청남도는 이 사업이 2025년 마무리되면 천수만과 부남호로 연결되는 지역의 해양생태계 복원으로 어족자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 부남호 제방을 두고 파란 바닷물과 부남호의 색깔이 확연히 다르다.(태안군청 제공)

 

▲ 부남호 역간척 사업 추진지

 

▲ 제방을 다리로 바꾸고 바닷물이 들어오게 하자 갯벌이 살아났다.(충청남도 제공)

 

갯벌과 바다의 경제적 값어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과거에, 간척 사업은 경제 발전과 식량 증산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었다. 현재에는 갯벌의 값어치가 농지의 값어치보다 높게 평가되고 있다. 갯벌은 쓸모없는 땅이 아니다. 갯벌 생태계를 잘 활용하면 농지보다 훨씬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간척은 좋은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서는 안 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라는 옛말이 있다. 역간척이란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를 실현하는 것이다. 간척의 시대에서 역간척의 시대로 세상은 서서히 변하고 있다.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