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보물 지정 예고

튼씩이 2024. 9. 13. 12:50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관음보살, 남순동자, 해상용왕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의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서울 興天寺 木造觀音菩薩三尊像)」은 조성발원문을 통해 1701년(조선 숙종 27)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법잠(法岑)을 비롯한 계초(戒楚), 진열(振悅), 성인(性印) 등의 제작자, 임실 신흥사 적조암이라는 원봉안처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현재 흥천사 대방에 모셔져 있는 이 관음보살삼존상이 언제 임실 신흥사 적조암에서 서울 흥천사로 옮겨졌는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1890년 흥천사 수월도량 정비 과정에서 대방에 모셔져 있던 관음보살상과 남순동자상, 해상용왕상 등을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이전에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 대방(大房) : 기도하는 수행공간과 공양하는 생활공간이 결합된 복합 공간

* 수월도량(水月道場): 물에 비친 달과 같은 도량이라는 뜻으로, 관음보살을 모신 곳을 의미

* 남순동자(南巡童子): 화엄경에 등장하는 불도를 구하는 보살로, 어린이와 같은 모습으로 표현되며 남쪽으로 순례를 떠나기 때문에 남순동자라 함

 

▲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수조각승 법잠(法岑)은 조선 후기 조각계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조각승이지만 함께 조성 작업에 참여한 계초(戒楚)와 진열(振悅)은 18세기 조각계에서 매우 비중 있는 조각승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이들의 조각승 계통의 형성과 전승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으며, 특히 1701년 작품으로 18세기 불교 조각의 첫 장을 연다는 미술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유물은 수월도량의 주불(主佛)인 관음보살과 남순동자, 해상용왕으로 구성된 매우 드문 삼존상이다. 이러한 관음보살삼존의 구성은 이미 고려 불화에서 그 조짐이 보이기는 하지만, 완전하게 자리 잡은 것은 17세기 이후부터로 판단된다. 조선 후기와 말기에 펴낸 의례집에서는 관음보살과 남순동자, 해상용왕이 관음보살삼존으로 말하는데, 이 불상은 이보다 시대가 앞서기 때문에 의례집을 펴내기 이전부터 성행한 관음보살삼존도상과 신앙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서울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에 대해 30일 동안의 예고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모아서 따진 뒤,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할 것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