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제4891호) 성균관 유생들, 성균관 대사성을 파직시키다

튼씩이 2023. 12. 15. 12:29

“성균관에서 아뢰기를, ‘재유(齋儒, 성균관에서 숙식하면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권당(捲堂, 성균관 유생들의 집단시위)하고 말하기를, ‘대사성 윤명규(尹命圭)는 (가운데 ᄌᆕᆯ임) 그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라고 하였습니다.‘라고 하니, 하교하기를, ’잘 살피지 못하여 또 이런 망발(妄發)이 있었다. 비록 이 일은 생각이 미치지 못한 탓이겠으나, 이미 나에게까지 알려진 이상 그냥 있을 수만은 없으니, 대사성은 파직하고 여러 유생은 들어가도록 권하라.‘라고 하였다.”

 

이는 《순조실록》 32권, 순조 31년(1831) 12월 14일 기록입니다. 조선시대 으뜸 교육기관인 성균관에서 숙식하면서 공부하던 유생들은 국가의 정책이나 당시의 시급한 일에 대한 자신들의 집단의사 표시로서 우선 편전 앞에서 “아이고” 상소를 했습니다. 그래도 들어주지 않으면 수업을 거부하고 밥을 먹지 않는 권당(捲堂)을 합니다. 이래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이젠 모두 집으로 돌아갑니다. 이것은 공관(空館)입니다. 이러면 임금의 통치력에 커다란 결함이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는 일이 됩니다.

 

▲ 조선시대 유생들은 '아이고' 상소를 했다. 이를 들어주지 않으면 '권당', '공관'까지도 한다. (그림 이무성 작가)

 

500년 조선 역사를 통해 이 성균관 유생들의 ’권당‘은 무려 96차례나 있었습니다. 다만 세종대부터 숙종대까지는 공관도 있었지만, 정조 이후로는 권당에 관한 기록만 보입니다. 그리고 선조 이전까지는 권당이 억불정책((抑佛政策)의 철저한 실행을 촉구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조선 후기에는 사색당파와 관련된 것이 많아 정치적 붕당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