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17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쪽샘 44호분 발굴조사 성과를 누구나 알기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작한 8종의 삽화를 공개했습니다. 쪽샘 44호분은 1,550년 전 만들어진 신라 무덤으로, 무덤에서 출토된 꾸미개(장신구) 등의 유물을 연구해 주인을 신라 공주로 추정하였지요. 당시 쪽샘 44호분에 붙인 사람의 머리모양을 추정할 수 있는 머리카락과 꾸미개, 바둑돌 860여 점, 철제바늘 30여 점, 화장이나 헌화의 용도로 활용되는 홍화(紅花) 꽃가루 등을 확인한 주요 성과를 지난해 7월 공개하면서 큰 관심을 받은 바 있었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삽화는 금동관을 쓰고 가슴걸이 등 꾸미개를 찬 모습과 말을 타거나 저승으로 향하는 모습, 바느질하거나 바둑을 두거나 화장하는 모습 등을 담은 모두 8종으로, 발굴조사와 연구를 통해 확인한 출토 유물들의 특징과 신라의 장례식 모습까지 담아 시각적으로 섬세하게 표현했지요.
▲ 1,550년 전 신라 공주의 모습 삽화(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작)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신라 공주와 공주 무덤 삽화 제작ㆍ공개를 통해 어렵게만 느껴졌던 발굴조사와 고고학, 고대사(古代史) 등 전문 분야에 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국가유산을 활용한 문화사업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삽화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누리집의 ‘자료마당-포토갤러리’에 올려 있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4유형, 자료 출처 명시 및 상업적 이용 금지)
* 삽화 올린 누리집 : https://www.nrich.go.kr/gyeongju/photogalleryList.do?menuIdx=1493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15,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놀이’와 ‘놀음’ (2) | 2024.01.27 |
---|---|
(얼레빗 제4909호) 고려청자의 대표작 <청자 어룡모양 주전자> (1) | 2024.01.27 |
(얼레빗 제4907) 덕률풍 소리가 울리면 절을 세 번 하고 받아 (1) | 2024.01.23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14,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날래다’와 ‘빠르다’ (0) | 2024.01.20 |
(얼레빗 제4906호) 우리 건축물의 아름다움 ‘흘림, 귀솟음’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