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3월 31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Hanji and related cultural practices in the Republic of Korea)을 등재하기 위한 신청서를 유네스코 본부에 제출하였다.
▲ 한지 말리기
▲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은 유네스코 사무국의 검토와 평가기구(Evaluation Body)의 심사를 거쳐, 2026년 12월 무렵 열리는 제21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등재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한지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를 재료로 하여 장인의 정교한 손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전통 종이로,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삶 속에서 세대를 거쳐 전해져 왔다. 닥나무 채취에서 제조 과정에 이르기까지 장인의 기술과 지식 그리고 마을 주민들의 품앗이가 더해져 제작되어 우리나라의 공동체 문화를 잘 보여준다. 기록을 위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건축부재, 각종 생활용품, 예술 활동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한 무형유산의 전승 사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김삼식
▲ <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고(故) 류행영
현재 한지 제작과 활용 관련 공동체는 ▲ 국가무형유산 한지장 홍춘수(전북 임실), 김삼식(경북 문경), 신현세(경남 의령), 안치용(충북 괴산)과 ▲ 도지정무형유산 김일수(전북 임실), 이상옥(경남 함양), 장성우(경기 가평), 장응렬(강원 원주) 등의 전승자들과 ▲ 한지살리기재단(이사장 이배용) 등 한지 관련 보존 및 활용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931호) ‘너무’라는 말 아무렇게나 써서는 안 돼 (1) | 2024.04.03 |
---|---|
완주 송광사 금강문, 서산 문수사 극락보전 보물 돼 (1) | 2024.04.02 |
(얼레빗 제4930호) 꽃 피는 봄, 진달래축제에 다녀올까? (0) | 2024.03.30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25, (2) | 2024.03.29 |
(얼레빗 제4929호) 조선시대 귀한 먹거리였던 후추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