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버리 찰떡”은 일제강점기부터 경북 안동지역 사람들의 주요 간식이자 한 끼 대용식으로 사랑받아 온 먹거리입니다. 경주에는 황남빵, 강원도에는 안흥찐빵이 있다면 안동에는 “버버리 찰떡”이 있습니다. 이 떡은 일제강점기 김노미 할머니가 지금은 사라진 안동시 안흥동 경북선 철길 밑에서 빚어 판 것을 시작으로 안동시민들로부터 각별한 사랑을 받은 떡이지요.

▲ 한 입 베어 물면 벙어리가 되는 버버리떡(안동 ‘산학협동버버리찰떡’ 제공)
그러나 2001년 불황으로 가게 문을 닫은 뒤 한 때 명맥이 끊어졌었는데 그러다 종종 사 먹던 찰떡의 맛을 잊지 못한 사람들이 지역의 대표적 먹거리가 사라진 것을 안타깝게 여겨 김동순 할머니를 찾아가 "안동의 자랑인 버버리 찰떡이 후대에 전수되어야 하지 않겠느냐"며 권유하여 그때의 사라진 '버버리 찰떡' 맛을 되살렸다고 합니다.
“버버리”는 벙어리의 안동 사투리입니다. 찰떡이 워낙 크고 맛이 좋아서 한 입 베어 물면 말을 잘할 수 없어 마치 벙어리처럼 된다고 하여 '버버리 찰떡'이란 이름이 붙은 것이지요. 이 떡은 떡고물을 떡 속에 넣지 않고 직사각형 모습의 찰떡 양쪽에 콩이나 팥고물을 듬뿍 묻힌 특이한 모양으로 다른 데서는 그 어디서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버버리떡은 재료의 절반이 건강에 좋다는 콩으로 구성되어 현대인들에게 식사대용으로 아주 좋지요.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938호) 들어온 지 겨우 백 년 된 고무신, 전통신 아니다 (1) | 2024.04.24 |
---|---|
일제가 파괴했던 화성행궁, 119년 만에 완전한 모습 (0) | 2024.04.24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27,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무섭다’와 ‘두렵다’ (0) | 2024.04.19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28,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메다’와 ‘지다’ (0) | 2024.04.19 |
(얼레빗 제4936호) 선비의사들, 《향약집성방》 등 많은 의서 펴내 (1)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