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실록》 6권, 영조 1년(1725) 6월 21일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흥양(興陽)의 나로도(羅老島)를 다시 태복시(太僕寺)에 예속시키고 목관(牧官)을 설치하였다. 나도로의 목장(牧場)은 폐지된 지 오래 되었다가 기해년(975)에 특별히 제주도(濟州島)의 종마(種馬) 1백80여 필을 사들여 섬에 방목(放牧)하여 왔는데, 이때 이르러 태복시의 계청(啓請)으로 인하여 이 명령이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축을 언제부터 길렀는지는 모르지만, 삼한시대 이전이었던 것으로 짐작합니다. 삼국시대에는 말이 국방상의 이유로 중요시되었는데 이러한 말 목장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실려 있을 정도입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서 대규모의 목마장을 설치하여 말의 개량에 힘쓰기도 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제주도, 강화도, 나로도, 서울의 뚝섬 등 여러 곳에, 나라에서 관할하는 목장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주로 말을 기르기 위한 시설이었지요.
▲ 초원을 누비는 제주말(농촌진흥청 제공)
또 말을 기르는 것과 함께 임금에게 바칠 우유, 우락(치즈), 낙죽(우유로 끓인 죽)을 위해 젖 짜는 소를 특별히 길렀는데 ‘사복시(司僕寺)’라는 기관이 담당했지요. 1445년 사복시 제조 이사검의 보고에 따르면 군사용으로 길렀던 말은 3만 2,198마리였고, 소는 대략 2만 3,500마리였다고 하니 말에 못지않게 소를 길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959호) <세한도> 기증한 손창근, 조용히 세상 떠 (0) | 2024.06.23 |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37,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소리’와 ‘이야기’ (0) | 2024.06.21 |
정의기억연대, 이탈리아 처음 ‘평화의 소녀상’ 세워 (0) | 2024.06.19 |
(얼레빗 제4957호) 조선시대 상의원 597명의 장인이 있었다 (0) | 2024.06.19 |
(얼레빗 제4956호) 표주박 모양의 주전자와 승반 꾸러미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