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이 고향에 돌아가 누차 상소하여 나이가 들었으므로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빌었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이때 병이 들었는데 아들 준(寯)에게 경계하기를, ‘내가 죽으면 예조가 틀림없이 관례에 따라 예식에 따라 장례를 치르도록 할 것인데, 너는 모름지기 내가 죽으며 남긴 뜻이라 말하고 상소를 올려 끝까지 사양하라. 그리고 묘도(墓道)에도 비갈(碑碣, 사적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글자를 새겨 세우는 것)을 세우지 말라.‘ 하였다.(가운데 줄임) 그로부터 며칠 뒤 죽었는데 준이 두 번이나 상소하여 예장을 사양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위는 《선조수정실록》 4권, 선조 3년(1570년) 12월 1일 기록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죽음에 관한 얘기입니다. 조선조 중기 명종과 선조 때 살았던 퇴계 이황(1501~1570)은 평생 올바른 인간의 도리를 추구하며 학문과 수양, 교육을 게을리하지 않아 마침내 최고의 유학자로 추앙받았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나이가 들자, 상소를 여러 차례 올려 벼슬을 사양하려 했고, 죽기 전 아들에게 나라에서 조의금이나 장례용품 주면 사양하고 받지 말라고 유언을 남겼을 정도였지요.
▲ 퇴계 이황 표준영정
요즘 정계는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 공천 개입 의혹으로 언론에 도배되면서 온통 난리가 아닙니다. 또 조선시대 지방 수령을 지낸 사람들의 엉터리 공덕비가 곳곳에 있습니다. 그런 것들에 견주면 벼슬을 내려놓으려 애를 쓴 것은 물론 장례를 치르면서 나랏돈을 받지 말라고 아들에게 유언을 남긴 퇴계 이황은 정치인들과 공직자에게 귀한 가르침을 주는 분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함도ㆍ사도광산에 이어 구로베댐ㆍ아시오광산 (1) | 2024.12.01 |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4 – ‘굿’ (1) | 2024.12.01 |
(얼레빗 제5032호) <262칸 대가람 회암사> 전시 보러 갈까요? (2) | 2024.12.01 |
(얼레빗 제5031호) 원주 지광국사탑, 113년 만에 고향으로 (0) | 2024.11.28 |
「한글서예」 국가무형유산 새 종목 지정 예고 (3)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