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글을 풀어내는 것을 어떤 이들은 소소한 일이어서 꼭 관심을 둘 필요까지는 없다고 하지만 성현들의 하신 말씀이 ‘글 뜻을 알지 못하고서 정밀하고 자세한 내용을 통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라고 하였다. 지금 사서오경(四書五經)의 구결(口訣, 한문의 한 구절 끝에 다는 토)과 뒤침(번역)은 경이 정하지 않은 것이 없으니, 경의 학문이 정밀하고 해박함은 세상에 드문 일이다. 사서와 오경(五經)의 구결과 뒤침을 경이 모두 자상하게 정해 놓았으니, 하나의 국(局)을 설치할 만하다.“
![](https://blog.kakaocdn.net/dn/r2JoX/btsL4Pw71sL/qKn2pZRbKiqHGSjt37wK5k/img.jpg)
▲ 《선조실록》 8권, 선조 7년(1574년) 10월 10일 기록 원문
위는 《선조실록》 8권, 선조 7년(1574년) 10월 10일에 있는 기록입니다. 선조는 임진왜란 때의 임금으로서 너무 많은 오명을 짊어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그의 행적을 더듬어보면 다시 평가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선조가 한문의 권위가 절대적이던 시절, 지식은 모든 사람이 나눠야 한다는 생각에 위처럼 경서를 우리말로 뒤치는 일을 추진한 것입니다.
특히 선조가 경서를 우리말로 뒤치는 일을 한 것은 무엇보다도 세종이 만든 훈민정음의 격을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지요. 이한우가 펴낸 《조선사 진검승부》에서 지은이는 ”선조가 사서오경을 훈민정음으로 언해 하려 했다는 것은 훈민정음을 학문 언어로 격상시켰다는 뜻이다.“라고 했습니다. 예전 이탈리아에서는 지식인들이 라틴어만 썼지만, 단테가 <토박이말을 드높임>이라는 논설을 쓰고, 이탈리아말로 위대한 서사시 <신곡>을 지어 발표한 뒤로는 라틴어가 아닌 쉬운 이탈리아말로 학문하는 세상이 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선조가 그런 꿈을 꾸었는지도 모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왕실 뿌리 되찾다, <경복궁 선원전 편액> 귀환 (0) | 2025.02.03 |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13 - ‘반물’ (0) | 2025.02.01 |
(얼레빗 제5053호) 조선시대 왕명으로 ‘금주령’을 내렸지만 (0) | 2025.01.26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12 - ‘무더위’ (0) | 2025.01.25 |
거창군, 웅양 동호숲 '국가산림문화자산' 지정 (1)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