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 민속놀이 가운데 조선시대 가장 인기가 좋았던 것은 ‘쌍륙놀이’라고 합니다. 쌍륙(雙六)은 겨울철 특히 설날 무렵에 많이 놀았던 주사위 놀이로 악삭·쌍륙(雙陸)ㆍ상륙(象陸, 이두식 표기)ㆍ상육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쌍륙판(雙六板, 말판)과 서른 개의 말[馬] 그리고 두 개의 주사위를 가지고 승부를 겨루는 놀이인 쌍륙은 주사위 두 개를 던져 나오는 숫자대로 말을 가는 놀이입니다.
혜원 신윤복(1758~?)의 ‘혜원풍속도첩’에는 '쌍륙삼매(雙六三昧)' 곧 '쌍륙놀이에 빠지다'란 그림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오른쪽 남자는 배자만 입고 탕건을 벗어 왼편에 놓아두고 있어 놀이에 빠졌음을 짐작할 수 있지요. 그리고 오른쪽에 써놓은 시를 보면 “기러기 나는 울음소리 역력한데, 인적은 고요하고 물시계 소리만 아득하다.”라고 하여 이들이 상륙 삼매경에 푹 빠졌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 신윤복의 <혜원풍속도첩>에 나오는 그림 ‘쌍륙놀이에 빠지다’
쌍륙놀이는 신윤복의 그림에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고려시대 이규보(1168-1241)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과 김시습(1435-1493)의 문집인 《매월당집》에도 ‘쌍륙’이란 제목의 한시가 있으며, 조선 중기의 문인 심수경(1516-1599)의 수필집 《견한잡록(遣閑雜錄)》에도 쌍륙에 대한 말이 나오는 것을 보면 쌍륙은 오랫동안 우리 겨레가 즐겼던 놀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구멍'은 하늘에 난 구멍? (0) | 2025.06.14 |
---|---|
'사슴벌레'를 왜 '하늘가재'라고 할까요? (0) | 2025.06.13 |
「독립운동가 서영해 자료」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2) | 2025.06.12 |
'땅주릅'은 '땅즈름'에서 온 듯 (1) | 2025.06.12 |
'땅'이 '켜'를 이루고 있으면? (1)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