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이재명 정부는 파격적으로 장관을 인선하여서 화제입니다. 세상사 특히 나랏일에는 인사가 정말 중요한 일이고 인재등용에 있어서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이런 고민은 조선시대 세종 때도 있었습니다. 특히 세종은 자신보다 30여 살이 더 많은 아버지 태종 때의 재상들 곧 황희ㆍ허조ㆍ맹사성 등을 재등용하고, 관노 출신 장영실을 곁에 두는 정말 파격적인 인사를 하였습니다.

▲ 세종이 관노 출신 장영실을 등용하여 만든 자동시보장치 달린 자격루
양반 사대부가들이 온갖 나랏일을 떠맡던 시대에 관노 장영실을 곁에 두고 당시 중국도 만들지 못한 자명종시계 곧 자격루를 만들게 한 세종의 인재 등용술은 정말 대단한 것이었습니다. 이 자격루는 그동안 전해지지 않았는데 지난 2007년 자격루연구회 이사장 남문현 건국대 교수와 국립고궁박물관 서준 학예사를 중심으로 한 천문과학자와 국가무형문화재 기능장 등 30여 명이 함께 하여 무려 570년 만에 보루각 자격루는 제 모습을 찾아 국립고궁박물관에 공개되었습니다.
이 자격루는 한쪽에 대파수호에서 중파수호, 소파수호로 물을 흘려보내 시간을 가늠케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한쪽에선 자축인묘...(子丑寅卯) 등 12지신 글씨 팻말을 쥔 인형들이 나와 시간을 알려 주는 것을 물론 24시간 동안 두 시간에 한 번 종을 치게 하고, 해가 진 다음부터 해가 뜰 때까지는 20분마다 북과 징도 치게 하는 당시로는 획기적이고 자랑스러운 자명종시계였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혼'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땅거미> (0) | 2025.06.25 |
---|---|
조선왕실 사당 ‘관월당’, 100년 만에 일본서 귀환 (3) | 2025.06.24 |
신라의 자연재해 극복,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4) | 2025.06.23 |
맑은 날 하늘빛이 가장 하늘빛답지요 (0) | 2025.06.23 |
'개울가', '냇가', '하늘가', '-가'를 더해 만든 말이니 뜻풀이도 한결같아야 (1)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