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판/고도원의 아침편지

(얼레빗 3825호) 녹두로 만드는 나눔의 음식 “빈대떡”

튼씩이 2018. 5. 25. 12:35

한국문화편지

3825호 (2018년 05월 25일 발행)

녹두로 만드는 나눔의 음식 “빈대떡”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25][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돈 없으면 대폿집에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 / 한 푼 없는 건달이 요릿집이 무어냐 기생집이 무어냐” 이는 1943년에 발표된 한복남이 부른 “빈대떡 신사” 가사의 일부입니다. 우리 겨레가 좋아하는 음식 가운데는 이 노래에 나오는 빈대떡도 있습니다. 조선의 요리서 가운데 정부인 안동 장씨가 쓴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과 빙허각 이씨가 쓴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빈쟈법”, “빙쟈”가 나오는데 그것이 바로 빈대떡입니다. 빈대떡은 녹두를 맷돌에 갈아서 부치는 것인데 여기에 어린 애호박을 송송 썰어 넣거나 파, 고추를 넣기도 하고 오징어나 굴 등…
삼국시대부터 쓴 유일한 화음악기 생황
‘부처님오신날’, 연등회를 하는 까닭은?
임진왜란 전에 입었던 여자 솜누비장옷
조선에 처음 들어온 전화기 “덕률풍(德律風)”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이재화 명인, '화현금'으로 거문고의 미래 제시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열린 한갑득 명인의 탄신 100돌 기념…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달 아래에서 거문고를 타기는 근심을 잊을까 함이려니 춤곡조가 끝나기 전에 눈물이 앞을 가려서 밤은 바다가 되고…
울주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공룡발자국 화석 30점 확…초식공룡인 조각류 발자국 14개, 육식공룡인 수각류의 발자국…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지난 3월 8일 착수한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일대에 대한 학…
이외수 "스승 '지렁이'에게 큰 절하고 싶다"남예종 학장 내정 특별강연, 천안함 관련 권력의 압력도 밝혀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철관 기자] 소설가 이외수 씨가 한 특별강연에서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과 관련해 당시 유력 신문사 기자가 소설 같은 가짜기사를…
천지꽃과 백두산
4대강 사업은 운하를 염두에 두고 추진되었다
[화보] 진주 고찰 월아산 청곡사의 오월
문화재청은 왜 세종대왕 생일잔치를 무덤에서 하나?
<권대운 기로연회도> - 조선의 집단 초상화
북경 798 예술구, 북한 미술관은 있고 우리는 없고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악기를 내 몸처럼 사랑해야 명품이…[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68]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의 ‘부처님 오신 날’은 양력…[맛있는 일본이야기 444]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 5월 22일은 불기 2562년 부처님 오신 날이…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나영수 초청지휘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
섬네일
이재화 명인, '화현금'으로 거문고의 미…
섬네일
1960년대 청계천 판잣집 추억으로 시간…
섬네일
‘음악을 그리다’… 일기예보 나들, 갤…

'지난 게시판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큰 실수   (0) 2018.05.28
간절한 마음   (0) 2018.05.26
3분만 더 버티세요!   (0) 2018.05.25
영웅의 탄생   (0) 2018.05.24
지금 내 가슴이 뛰는 것은   (0) 201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