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만향헌에 앉아서
서글피 인왕산을 마주했도다
하늘은 넓고 구름 빛도 맑은데
돌아간 기러기는 어느 때에 돌아올까“
이는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명온공주(明溫公主)에게 보낸 편지로 한시에 음을 나란히 적고 한글 번역과 풀이를 달아 한글로 문자생활을 한 공주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효명세자는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가 세도를 부리던 순조(純祖, 재위: 1800∼1834) 때의 세자였지요. 그는 대리청정을 하면서 국정의 혼란과 민생의 파탄을 가져온 ‘세도(勢道)정치’를 누르고, 왕권을 회복하려 했지만 22살의 짧은 나이에 병으로 삶을 마감한 비운의 왕세자였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오는 9월 22일까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특별전을 열고 있지요. 이 특별전에서는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를 대신해 정사를 돌본 3년 동안의 대리청정 기간(1827~1830)에 궁중 잔치와 궁중정재(呈才, 궁중잔치의 악기연주와 노래 그리고 춤), 궁궐 영건(나라가 건물이나 집을 짓는 것), 궁궐도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룩한 업적과 이러한 성과를 남길 수 있었던 배경으로 그의 성장 과정과 교육, 문예적 재능 등을 주제로 조명하고 있습니다.
이 특별전에서는 일찍 삶을 마감한 것을 상징하듯 반 이상 불에 탄 초상(예진-睿眞)도 볼 수 있지요. 이 특별전을 관람한 한 시민은 “여러 분야에서 업적이 드러난 효명세자가 일찍 죽은 것은 인조 때 소현세자가 요절한 것과 함께 조선에 큰 불운으로 작용했을지도 모른다.”고 했습니다. 효명세자는 임금으로 즉위하지는 못했지만 헌종이 즉위한 뒤에 익종(翼宗)으로 추존되었고, 대한제국이 출범한 뒤에 고종에 의하여 다시 문조익황제(文祖翼皇帝)로 추존되었음은 물론 추존왕들을 종묘에 배향할 때는 영녕전에 모신다는 관례와 달리 정전에 모신 유일한 추존왕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167호) 문호 개방하고 사치품을 들여오다니 (0) | 2019.09.18 |
---|---|
(얼레빗 4166호) 79년 전(1940년) 오늘 광복군 창설 (0) | 2019.09.17 |
(얼레빗 4164호)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으소서! (0) | 2019.09.12 |
(얼레빗 4163호) 한가위 보름달, 이웃과 함께 보아야 (0) | 2019.09.11 |
(얼레빗 4162호) 예전 송편은 정월, 이월에도 해먹었다 (0) | 2019.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