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제주 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올랐고, 2017년 5월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ㆍ전복ㆍ미역ㆍ톳ㆍ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하는 해녀는 전 세계에서 제주와 울릉도, 일본 일부 지역에만 있다고 하지요. 이 해녀를 옛날에는 잠녀(潛女) 혹은 잠수(潛嫂)라 했는데 300년 전인 1702년의 그림에 잠녀의 모습이 있습니다.
▲ <탐라순력도> ‘병담범주(屛潭泛舟)’ 가운데 물질하는 잠녀의 모습이 보인다.
국립제주박물관에 가면 1702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이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그린 기록화첩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보물 제652-6호)>가 있는데 18세기 초 제주의 삶과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여기에 수록된 그림 41면 가운데 제주 용연에서의 뱃놀이 모습을 그린 ‘병담범주(屛潭泛舟)’라는 그림에 바로 잠녀의 모습이 보입니다.
이 ‘병담범주’의 가운데 오른쪽 부분을 확대해서 보면 용두(龍頭, 용두암)라는 글자가 선명하고, 그 옆에 잠녀(潛女)라는 한자도 쓰여 있습니다. 여기서 잠녀 다섯 5명이 테왁이라는 도구를 물 위에 띄워놓고 물질하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그려졌습니다. ‘태왁’이란 ‘태왁박새기’라고도 하는데 해녀가 바다에서 물질할 때 몸을 의지하여 쉬기도 하고, 물질하는 위치를 알려주기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녀의 물질은 300년 전의 기록에도 보이는 제주의 분명한 무형문화유산입니다.
▲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보물 제652-6호)>, 국립제주박물관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576호) 조선시대 화차가 동원된 화력전 ‘만령전투’ (0) | 2021.04.13 |
---|---|
[토박이말 살리기]1-37 느루 (0) | 2021.04.12 |
(얼레빗 4574호) 조선시대, 6~7살 넘은 아이 아버지가 양육해 (0) | 2021.04.09 |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부치다 오래되다 고른수 따오다 모조리 (0) | 2021.04.08 |
(얼레빗 4573호) 미국을 떠돌다 귀국한 고종과 명성황후 어새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