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짐승의 어미와 새끼

튼씩이 2021. 7. 21. 13:11

요즘에야 ‘어미’라는 말을 ‘어미 소’, ‘어미 개’처럼 짐승에도 두루 쓰고 있지만, 옛날에는 사람의 ‘자식’과 짐승의 ‘새끼’를 구별해서 썼던 것처럼 ‘어미’도 사람에게만 썼다. 짐승의 어미는 사람과는 달리 ‘어이’라고 했다. 그래서 옛날에는 ‘어이 원숭이와 새끼 원숭이’, ‘어이 돼지와 새끼 돼지’라는 말을 썼다. ‘어이’는 지금도 우리 국어사전에 “짐승의 어미”라는 뜻으로 올라있는 표준말이다.


우리말에는 짐승의 새끼를 가리키는 말들이 꽤 발달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접미사 ‘아지’를 뒤에 붙여 쓰는 ‘강아지’, ‘송아지’, ‘망아지’ 같은 것들이다. 맨 처음으로 땅 위에 머리를 내민 식물의 싹에도 ‘아지’를 붙여서 ‘싹아지’라고 하는데, 강원도나 전라도 지방에서는 이것을 소리 나는 대로 ‘싸가지’로 쓰고 있는 것이다. ‘싸가지’는 ‘싹수’와 같은 말이다. 국정농단에 관련되어 이 싸가지가 보이지 않는 몇몇 사람들이 언론에 자주 오르내리는데, 도로 땅속으로 집어넣을 방도가 없어 유감이다.


그런가 하면 전혀 이름을 달리해서 부르는 경우도 많다. ‘병아리’가 그렇고, 꿩의 새끼인 ‘꺼병이’가 그렇다. ‘꺼병이’는 ‘꿩’을 뜻하는 ‘꺼’와 ‘병아리’를 가리키는 ‘병이’가 합쳐진 말로서 ‘꿩의 병아리’를 말한다. 그 밖에도 호랑이의 새끼를 ‘개호주’라 하고, 곰의 새끼는 ‘능소니’라 부른다. 바닷물고기인 고등어 새끼는 ‘고도리’라고 하고, 명태 새끼는 ‘노가리’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우리 주위에 더이상 호랑이나 곰이 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개호주’, ‘능소니’ 같은 우리말들은 거의 잊혀가고 있다.



출처: https://www.urimal.org/1138?category=411632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아, 그 말이 그렇구나-163] 성기지 운영위원    2016. 12.  8.

 

 

'우리말을 배우자 > 한글문화연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꼽인가, 눈곱인가  (0) 2021.07.23
접지르다? 접질리다!  (0) 2021.07.22
뚝배기와 곱빼기  (0) 2021.07.20
알은체하다  (0) 2021.07.19
동문, 동창, 동기  (0) 20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