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학회 회장을 지낸 군산대학교 최동현 교수는 그의 책 《소리꾼, 득음에 바치는 일생》에서 “판소리 창자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득음’이다.”라고 말합니다. 판소리는 음악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예술이고, 또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소리’를 만드는 과정이 길고 험난하기 때문인데, 소리꾼이 훈련하는 과정에서 온갖 고초를 겪는 것이 다 이 득음 때문입니다.
‘득음(得音)’이란 곧 ‘소리를 얻는 것’으로 본래 소리꾼이 가지지 못한 소리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판소리에서 소리꾼들이 쓰는 소리는 매우 독특한 것으로 바로 목쉰 소리를 말합니다. 판소리는 큰 음량으로 길게는 8시간 동안 여러 사람 앞에서 불러야 하기에 오랜 시간 동안 소리를 해도 괜찮도록 단련해서 목이 쉰 상태를 만들어 버립니다. 곧 성대에 상처를 내서 흉터투성이인 채로 소리를 하는 것입니다.
▲ 천구성을 가진 이동백 명창(왼쪽)과 임방울 명창
그런데 이 거칠고 쉰 목소리를 판소리에서는 ‘수리성’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수리’란 으뜸이라는 뜻이어서 판소리에서 으뜸가는 성음이라는 뜻인데 다만, 그 거친 소리 가운데서도 상대적으로 맑은소리는 ‘천구성’이라고 해서 더욱 훌륭한 성음으로 치지요. 천구성은 수리성에 견줘 높고 슬픈 소리를 표현하기에 알맞은데 천구성 남자 소리꾼으로는 일제강점기 명창으로 유명했던 이동백ㆍ임방울 명창을 꼽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박이말 살리기]1-65 두발걸이 (0) | 2021.07.27 |
---|---|
(얼레빗 4650호) 나무를 다루는 장인 대목장과 소목장 (0) | 2021.07.27 |
[토박이말 찾기 놀이]1-12 (0) | 2021.07.24 |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27-얼굴을 들어... (0) | 2021.07.23 |
(얼레빗 4648호) 내일은 불편했던 이웃과 함께 웃는 날 유두 (0) | 202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