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우리말 다듬은 말 알아보기
‘뼈째회’ 맛있게 먹고, ‘각자내기’ 하자
횟집이나 일식집에서 본 음식이 나오기 전에 밑반찬으로 딸려 나오는 여러 음식을 우리는 흔히 ‘쓰키다시(つきだし)’라고 합니다. 이 말은 ‘곁들이찬’이라는 우리말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곁들이’는 다음과 같은 뜻의 우리말입니다.
• 곁들이: 주된 음식의 옆에 구색을 맞추기 위하여 차려 놓은 음식
• 쓰키다시(つきだし) → 곁들이찬
생선 중에서 주로 ‘머드러기’를 골라서 살을 얇게 저며 회를 쳐서 먹습니다. 이것을 ‘사시미’라고 하는데, ‘생선회’라고 바꿔 쓰면 됩니다.
• 머드러기: 과일이나 채소, 생선 따위의 많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것
• 사시미(さしみ) → 생선회
전어나 광어, 도다리 새끼 등은 뼈째 썰어서 먹기도 하는데 이것을 ‘세고시’라고 합니다. 뼈째 썬 회니까 ‘뼈째회’로 바꿔 쓰면 됩니다. 초와 소금을 친 흰밥에 생선 살점 등을 얹은 음식을 ‘스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스시’는 ‘초밥’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 세고시/*세꼬시(せごし) → 뼈째회
• 스시(すし) → 초밥
생선회를 다 먹으면 생선 살의 나머지 부분으로 끓인 탕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을 흔히들 ‘서더리탕’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서덜’에 ‘탕’이 붙은 말인 ‘서덜탕’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때는 생선과 채소, 두부 등을 넣어 맑게 끓인 국인 ‘지리(ちり)’를 먹기도 하는데, 이것은 ‘맑은탕’이라고 하면 됩니다.
• 서덜: 생선의 살을 발라내고 난 나머지 부분
• 지리(ちり) → 맑은탕
우리 선조들은 여럿이 어울려 음식을 ‘도르리’하며 먹었습니다. 요즘 방식으로는 비용을 각자 부담하는 ‘더치페이’나 ‘각출’과 비슷한 것입니다. ‘더치페이’는 ‘각자내기’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 도르리: 똑같이 나누어 주고 골고루 돌라 줌
• 더치페이(Dutch pay), 각출(各出) → 각자내기
잔치 음식을 여러 군데에 나눠 주려고 ‘반기’하기도 했습니다.
• 반기하다: 잔치나 제사 후에 음식을 여러 군데에 나누어 담다
한 끼 음식을 먹더라도 사시미와 세고시를 쓰키다시와 함께 먹고 스시와 지리까지 먹고 나서 더치페이하는 것보다는 ‘생선회와 뼈째회를 곁들이찬과 함께 먹고 초밥과 맑은탕까지 먹고 나서 각자내기’하면 훨씬 맛있지 않을까요?
다듬을 말 | 다듬은 말 |
쓰키다시(つきだし) | 곁들이찬 |
사시미(さしみ) | 생선회 |
세고시(せごし) | 뼈째회 |
스시(すし) | 초밥 |
지리(ちり) | 맑은탕 |
더치페이(Dutch pay) | 각자내기 |
글_김형배(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사진 출처: 제주관광공사, 픽사베이
'우리말을 배우자 > 쉼표,마침표(국립국어원 온라인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속 차별 언어 - 시골과 관련된 표현 (0) | 2022.03.24 |
---|---|
문장 다듬기 - 과한 높임 표현은 적절하게 고쳐 써요! (0) | 2022.03.23 |
언어의 숨겨진 힘 - 멋글씨, 개성을 표현하는 예술 (0) | 2022.03.22 |
재미있는 우리 속담 - 소뿔도 각각 염주도 몫몫 (0) | 2022.03.21 |
한글 맞춤법 - 집채만 한 파도, 집채를 덮을 만한 파도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