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24절기의 다섯 번째 청명(淸明)이고, 오늘은 예전 명절처럼 지냈던 한식(寒食)이다. 청명과 한식은 하루 차이이거나 같은 날이어서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있다. 이날 성묘(省墓)를 간다. 옛날에는 한 해에 네 번, 그러니까 봄에는 청명, 여름에는 중원 (中元, 7월 15일), 가을에는 한가위, 겨울에는 동지에 성묘했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따르면 청명(淸明)에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쳤다. 임금은 이 불을 정승, 판서, 문무백관 3백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 주는 데 이를 ‘사화(賜火)’라 했다. 수령들은 한식(寒食)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고 한 것이다.
▲ 나라에서 내려주는 새 불씨를 받기 전 한식에 찬밥을 먹었다.(그림 이무성 작가)
이렇게 하여 온 백성이 한 불을 씀으로써 같은 운명체로서 국가 의식을 다졌다. 꺼지기 쉬운 불이어서 습기나 바람에 강한 불씨통(장화통:藏火筒)에 담아 팔도로 불을 보냈는데 그 불씨통은 뱀이나 닭껍질로 만든 주머니로 보온력이 강한 은행이나 목화씨앗 태운 재에 묻어 운반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다. 그래서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청명은 날씨와 관련된 속신이 많다.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해 농사가 잘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바닷가에서는 청명과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하는데 파도가 세게 치면 물고기가 흔하다고 믿는 곳도 있다. 이에 견주어 경남 사천에서는 청명날의 날씨가 좀 어두워야 그해 농사에 풍년이 들고, 너무 맑으면 농사에 시원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청명에는 ‘청명주(淸明酒)’를 담아 먹었는데 ‘춘주(春酒)’라고도 했다. 찹쌀 석 되를 갈아 죽을 쑤어 식힌 다음, 누룩 세 홉과 밀가루 한 홉을 넣어 술을 빚는다. 다음날 찹쌀 일곱 되를 깨끗이 씻고 쪄서 식힌 다음, 물을 섞어 잘 뭉개어서 독 밑에 넣고 찬 곳에 둔다. 7일 뒤 위에 뜬 것을 버리고 맑게 되면 좋은 술이 된다.
▲ 청명ㆍ한식이면 `내 나무'를 심는다.(그림 이무성 작가)
청명ㆍ한식이면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딸을 낳으면 그 아이 시집 장가갈 때 농짝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다. 연정(戀情)을 품은 아가씨가 있으면 그 아가씨의 '내 나무'에 거름을 주는 것으로 사랑을 표시하기도 했다. 다음의 <나무타령> 민요는 우리 겨레의 해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명(淸明) 한식(寒食) 나무 심자. 무슨 나무 심을래. 십리 절반 오리나무, 열의 갑절 스무나무, 대낮에도 밤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 앉아 구기자나무, 거짓없어 참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칼로 베어 피나무, 네 편 내 편 양편나무, 입맞추어 쪽나무, 양반골에 상나무, 너하구 나하구 살구나무, 아무 데나 아무 나무….”
제주도에서는 청명이나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가는 날이어서 손(날수를 따라 여기저기로 다니면서 사람을 방해한다는 귀신)이 없어서 특별히 택일(擇日)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하거나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9년 오늘은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태어난 날 (0) | 2022.04.11 |
---|---|
무지개달 열사흘(4월 13일), 다섯 돌 맞는 ‘토박이말날’ (0) | 2022.04.08 |
신민회 주역 안태국 선생, ‘4월의 독립운동가’ (0) | 2022.04.05 |
(얼레빗 4709호) 오늘, 명절의 하나였던 삼짇날 (0) | 2022.04.04 |
수도권 쓰레기매립장은 어디로 가야 하나?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