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조선왕조 수도 한양을 수호했던 성곽인 ‘한양도성-탕춘대성-북한산성’을 통합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그 첫걸음으로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성곽이었던 ‘탕춘대성’에 대한 첫 발굴조사를 28일(목) 시작한다. 탕춘대성이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1976년)된 지 46년 만이다. 종로구와 서대문구 경계의 북한산 자락 1,000㎡(정밀발굴 50㎡)가 대상으로, 7월까지 발굴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탕춘대성의 성벽 원형과 구조, 성격 등을 규명해 연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등재를 추진한다.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문화유적임에도 제대로 된 보존‧정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탕춘대성을 한양도성, 북한산성과 동일하게 사적으로 승격해 보존‧관리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 한양도성-탕춘대성-북한산성이 한폭에 그려진 도성연융북한합도 (19세기 전반, 서울대 규장각 소장)
탕춘대성은 도성인 한양도성과 산성인 북한산성을 잇는 성곽으로, 1718년(숙종 44년)~1753년(영조 29년) 축조됐다. 전란 시 왕실은 물론, 도성 사람들이 북한산성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연결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평상시에는 도성 내부 평창동 일대의 식량과 물자를 보관하는 군수창고를 보호하는 방어시설로서 기능을 했다.
19세기에 작성된 지도인 <연융대도(鍊戎臺圖)>에는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잇는 탕춘대성의 모습이 잘 나와 있다. 도성과 북한산성이 방어를 위한 요충으로 인식됐던 탕춘대성의 성곽과 주변 군사시설, 창고시설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탕춘대성은 1921년까지 축조 당시(숙종~영조)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홍수로 인해 홍지문과 오간수문, 탕춘대성 일부가 훼손됐다. 이후 약 50여 년간 방치돼오다가 1976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복원공사가 시작돼 이듬해 복원이 완료됐다. 현재는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탐방하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다.
시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탕춘대성 복원‧정비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연말까지 사적 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탐방로 정비, 수목 정비, 성벽 3D 스캔 도면 작성 등 보존 관리 활용을 위한 정비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한다. 발굴조사뿐 아니라, 탕춘대성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학술 심포지엄’도 6월 중 개최할 예정이다.
주용태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탕춘대성은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해 전란 시 피난민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올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을 추진해 보존‧관리를 강화하고자 한다”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한양도성-탕춘대성-북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통합 등재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713호) 전통차, 입하 전후 딴 잎으로 가공한 것이 좋아 (0) | 2022.05.02 |
---|---|
새로운 일상으로 만나는 국가무형문화재 5월 행사 (0) | 2022.04.29 |
울릉도 바다서 색동놀래기 등 어류 49종 새로 확인 (0) | 2022.04.29 |
훈민정음 창제에 큰 공을 세운 정의(貞懿)공주 (0) | 2022.04.29 |
한국 절의 벽화사진 전시회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