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제4726호) 고고학 교과서를 새로 쓰게 한 전곡리 주먹도끼

튼씩이 2022. 7. 4. 07:53

“어! 이 돌은 좀 이상한데?” 주한 미군 그렉 보웬(Greg L. Bowen)은 애리조나 주립대에서 고고학을 공부하다가 군대에 입대하여 한국으로 왔습니다. 보웬은 어느 날 연인과 함께 경기도 연천 전곡리 한탄강 강가를 걷다가 예사롭지 않은 돌 몇 개를 발견합니니다. 그래서 보웬은 이 돌들을 사진으로 찍어 구석기 시대의 세계적 권위자 프랑스의 보르드 교수에게 보냈고, 보르드 교수의 연락을 받은 서울대 박물관 연구자들이 현장에 나가 이 돌들이 구석기 시대 뗀석기 가운데 주먹도끼였음을 확인했습니다.

 

▲ 연천 전곡리에서 주먹도끼를 발견한 그렉 보웬과 그가 발견한 주먹도끼 《한 컷 한국사》 (해냄에듀 제공)

 

이때까지만 해도 세계 고고학계는 주먹도끼가 유럽과 아프리카에만 있고, 동아시아에는 없다는 고고학자 모비우스의 주장을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을 때였지요. 하지만 보웬의 발견으로 모비우스의 학설은 폐기되고, 세계 고고학 교과서는 새로 쓰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세계 구석기 지도에 한국의 연천 전곡리가 표시되었고, 보웬은 역사적인 발견을 하게 된 사람이 되었지요.

 

주먹도끼를 쓰던 사람들은 곧선사람(호모 에렉투스)이었습니다. 그들은 단순히 돌을 깨뜨려 찍개를 만들어 쓰던 수준을 넘어 머릿속으로 미리 어떤 모양을 구상한 다음 만들 수 있는 주먹도끼를 만들었고, 이는 두뇌가 혁명적으로 진화한 덕분이라는 평가입니다. 그 결과 불을 다룰 줄 알게 되었으며, 간단한 말도 쓰게 되었습니다. 이런 인류사의 큰 사건은 현재의 사람들과 같은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해냄에듀에서 펴낸 《한 컷 한국사(해냄에듀)》에는 “길가에 돌멩이, 함부로 발로 차지 말자. 당신이 보웬이 될 수도 있다”라고 말해줍니다.

 

▲ 역사 교사들이 한 컷 사진으로 풀어낸 《한 컷 한국사》(해냄에듀 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