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탑은 네 모서리에 장식이 없고, 큰 자리를 얹어놓는다. 관사 안에 지나다니는 길 사이에 두고, 관리들이 쉴 때 썼다. 와탑은 3면으로 난간이 세워져 있으며, 비단 보료가 깔리고 큰 자리가 놓여 있다. 단지 임금과 높은 벼슬아치와 관련한 의식이 있거나, 중국 사신을 접대할 때만 사용한다.” 중국 송(宋)나라 관리로 고려 인종(仁宗) 원년(1123)에 사신으로 온 서긍(徐兢)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는 이렇게 좌탑(坐榻)과 와탑(臥榻) 곧 평상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 <평상>, 국립민속박물관
평상(平床)은 솔바람을 맞으며, 책을 읽고 바둑을 둘 때 또는 낮잠을 잘 때 쓰는 것으로 대청이나 누(樓)마루에 놓여 있었지요. 기다란 각목(角木)이 일정 간격으로 벌어져 있어 통풍이 잘되므로 여름철에 제격입니다. 두 짝이 쌍으로 된 평상은 올라서는 곳에 난간이 없는 것이 보통입니다.
조선 전기 방랑의 천재 시인이면서 생육신의 한 사람이었던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산중에 열 가지 경치를 말했는데, 그 가운데는 평상 위에서 글 읽는 것도 들어 있습니다. 조선 후기 선비 화가 윤두서(尹斗緖)가 그린〈수하오수도(樹下午睡圖)〉에는 여름철 시원한 나무 그늘에 평상을 놓고 낮잠을 즐기는 사람이 보입니다. 또 단원 김홍도(金弘道, 1745~1806?)가 그린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에도 사랑채 대청마루에 평상을 놓고, 그 위에 사람이 누워있는 장면이 보이지요. 옛 선비들은 몸가짐을 흐트러뜨리거나 나태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크게 부끄러워했지만, 평상 위의 즐거움도 은근히 누렸습니다.
▲ 단원 김홍도가 그린 <삼공불환도> 일부, 평상이 보인다.(삼성미술관 리움)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고지신(溫故知新)서 온고작신(溫故作新)을 생각하다 (1) | 2022.08.17 |
---|---|
(얼레빗 제4737호) 내일은 말복, 수박화채에 소금 뿌려 먹기 (0) | 2022.08.14 |
(얼레빗 제4735호) 오늘(8.7.)은 입추, 어디 척서단 같은 소식 없나요? (0) | 2022.08.08 |
(얼레빗 제4734호) 안경신 지사 평남도청에 폭탄 던진 날 (0) | 2022.08.04 |
137년간 일본 역대 총리 101대, 초대는 이토 (0) |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