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아래위를 눌러 납작해진 공 모양의 몸통에 좁은 목과 넓게 되바라진 아가리를 가진 ‘사슴장식 구멍단지’가 있습니다. 어깨 쪽에는 짧고 통통한 몸통에 짧은 다리 네 개와 작은 머리를 붙인 사슴 두 마리가 붙어 있지요. 머리에는 아주 큰 뿔을 달았는데 왼쪽 사슴의 뿔은 온전하나 오른쪽 사슴의 뿔은 하나가 떨어져 아쉬움을 줍니다.
▲ <사슴장식 구멍단지>, 가야 5세기, 높이 16.1cm
그런데 왜 5세기 가야시대에 빚은 이 단지에는 사슴이 붙어 있을까요? 사슴은 북방 아시아 여러 민족이 신성시한 동물로서 신앙 대상이었습니다. 또 사슴은 인류의 중요한 식량 자원 가운데 하나인데 우리나라에서도 충북 제천 점말동굴에서 사슴 머리뼈가 발굴되어 구석기시대부터 사슴 사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지요. 잘 알려진 국보 285호인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바다 동물과 육지 동물이 많이 그려져 있는데 그 그림들 가운데 사슴 그림은 36점으로 약 15%나 차지합니다.
인물이나 동물 그리고 특정한 물건을 본떠 만든 토기를 상형토기(象形土器)라고 하는데 사슴 역시 상형토기의 주제로 많이 등장합니다. 소가야에서 만든 이 사슴 장식 구멍단지도 가장 중요한 식량 자원이자 권위의 상징이었던 사슴에 대한 동경을 나타낸 것으로 소가야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을 담았을 것이라고 국립중앙박물관 박진일 연구원은 말합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늦더위 속의 창덕궁 공부하기 (1) | 2022.09.22 |
---|---|
(얼레빗 제4748호) 파이팅은 가짜 영어, 우리말로 써야 (0) | 2022.09.19 |
우리 땅, 그 이름에 얽힌 이야기 (0) | 2022.09.13 |
(얼레빗 제4746호) 황진이, 얼레빗을 하늘에 걸어두었다네 (0) | 2022.09.12 |
일제의 화투놀이보다는 우리 전통 윷놀이를 (0) | 202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