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해서 ‘밥’이다. 예나 지금이나 ‘밥’이고 전국 방방곡곡 모든 지역에서 ‘밥’이다. 이렇듯 ‘밥’은 변함이 없으나 앞뒤에 붙는 말들은 변화가 있고, 그 변화는 각 시대의 우리의 삶을 간접적으로 말해 준다. 쌀이 귀하던 시절 ‘고봉밥’은 무척이나 반가운 말이었으나 밥이 과다한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전락해 버린 요즘에는 아예 사라진 말이 되었다. 과거에는 밥을 훔치는 사람, 혹은 일은 안 하고 밥만 축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더 많이 쓰이던 ‘밥도둑’이 요즘에는 맛있는 반찬에 대한 찬사로 쓰인다. 그러나 ‘밥’과 관련해서 무엇보다도 우리의 삶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말은 역시 ‘집밥’과 ‘혼밥’이다.
‘집밥’이란 말은 ‘밥집’에서 나왔다. 뭔가 말이 되지 않는 것같이 들리지만 사실이다. ‘집밥’과 ‘밥집’은 참으로 묘한 관계다. 순서만 다를 뿐 ‘집’과 ‘밥’으로 구성된 단어이다. 그런데 집밥은 있으나 ‘집밥’이란 말은 없던 시절이 있었다. 집에서 밥을 먹는 것이 당연한 시절에는 ‘집밥’이란 말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밥을 파는 집, 즉 밥집이 등장하게 되었다. 밥집에서 먹는 밥은 ‘밥집밥’이 되어야 하나 말이 이상하니 ‘밥집’의 다른 말인 ‘식당’을 써서 ‘식당밥’이라 부르게 된다. ‘식당밥’이 일반화되다 보니 드디어 그 반대말인 ‘집밥’이란 말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밥집밥’, 아니 ‘식당밥’보다 더 자연스럽게 쓰이던 말이 있었으니 바로 ‘외식(外食)’이다. 말 그대로 보면 집 밖에서 먹는 밥이지만 실제로는 식당에서 먹는 밥을 뜻한다. ‘중국집’의 짜장면으로부터 ‘레스토랑’의 스테이크에 이르기까지 무엇을 먹든 모두에게 환영을 받는 말이 ‘외식’이다. 주부는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할 걱정에서 벗어나 좋고, 식구들은 매일 먹는 밥과 반찬이 아닌 색다른 음식을 먹을 수 있으니 역시 좋다. 이 외식도 결국 식당에서 하는 것이니 이때 먹는 밥도 ‘식당밥’일 텐데 실제로는 그렇게 쓰지 않는다. 외식은 집밥이 먹기 싫어서 하는 것이고, 식당밥은 집밥을 먹을 수 없어서 먹는 밥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식당밥’의 반대말로 생긴 ‘집밥’은 단순히 집에서 먹는 밥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자극적이지는 않지만 오랫동안 익숙해진 맛, 화려하지는 않지만 정성이 느껴지는 차림, 맛있는 반찬을 자꾸 몰아주는 손길, 배가 부른데도 자꾸 더 먹으라는 재촉 등이 어우러진 것이 집밥이다. 유학이든 취직이든 집을 떠나 먹지 못하게 되면 그리워지는 그 집밥이다. 출근 시간에 쫓겨 못 먹는 아침, 줄 섰다가 후다닥 먹어 치워야 하는 점심, 기름진 회식으로 대신하는 저녁에 물려 갈 때쯤 생각나는 집밥이다. 집밥만이 밥이던 시절에는 미처 느끼지 못했던 그리움이 묻어나는 밥이니 집에서 먹는 밥으로서의 ‘집밥’만은 아닌 것이다.
‘집밥’이란 말이 널리 퍼져 나갈 무렵 새롭게 등장한 말이 ‘혼밥’이다. 이 말을 두고서는 누구든지 한마디씩은 하고 싶어 한다. 말을 너무 줄여 써서 알아듣기 어려워하는 이들은 줄임말이라는 것 자체만으로도 불만이다. 좀 더 깊이 있게 보는 사람은 ‘혼자 먹는 밥’을 ‘혼밥’으로 줄이는 것은 우리말의 일반적인 조어법에는 맞지 않는다고도 말한다. ‘혼밥’에서 시작된 조어법이 ‘혼자 마시는 술’을 뜻하는 ‘혼술’과 ‘혼자 보는 영화’를 뜻하는 ‘혼영’까지 번져 나가자 우리말이 너무 오염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를 하기도 한다. 그래도 조금 열린 자세로 우리말을 연구하는 이는 독특한 조어법이 점차 확산되는 것을 흥미롭게 바라보기도 한다.
‘혼밥’에 쓰인 조어법은 ‘옥떨메’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외모가 볼품없는 사람을 ‘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같다고 장난조로 말하던 것이 ‘옥떨메’로 줄어들어 한때 유행했다. 만약 ‘옥상 메주’란 것이 있어서 ‘옥메’라고 한다면 그나마 자연스러운 조어법이 될 수 있다. ‘전국 경제인 연합회’처럼 명사가 나열될 때 첫 글자를 따서 ‘전경련’이라고 하는 것은 그리 드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사 이외에 다른 요소도 붙어 있는 구절에서 첫 글자를 따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긴 하다. 이 조어법은 ‘옥떨메’와 같이 장난스럽게 시작됐지만 ‘노래를 찾는 사람들’이 ‘노찾사’가 되고, ‘○○○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사모’가 되는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조금씩 그 세력을 넓혀 가고 있다. 급기야 ‘혼밥’은 물론 ‘혼술’과 ‘혼영’도 별로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단어 자체만을 보면 조어법만이 보이지만 이 말을 삶과 관련지어 보면 짠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집밥이 당연해서 ‘집밥’이란 말이 없었던 시절에는 ‘식구(食口)’는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는 말이다. 말 그대로 한집에서 밥을 같이 먹는 사람이란 뜻이니 참 잘 만들어진 말이기도 하다. ‘식구’의 수가 줄어드는 상황, 식구는 있더라도 함께 둘러앉아 밥을 먹을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드는 상황이 되다 보니 ‘식구’의 본래 의미는 점점 퇴색해 간다. ‘혼밥’은 바로 이 ‘식구’가 줄어들고 그 의미가 퇴색해 가는 상황에서 만들어진 말이다. 식구들과 같이 먹는 것이 익숙한 시절에는 ‘혼밥’이란 말은 있지도 않았고, 혼밥은 가능하면 피하려고 했다. 그러나 피하려고 해도 피할 수가 없는 상황이 되다 보니 ‘혼밥’이란 말은 서서히 그 세력을 넓혀 가게 된다. 어른들은 혼밥을 짠하게 바라보지만 막상 당사자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는 상황이 되기도 한다.
‘집밥’이란 말은 ‘할 수만 있다면’이란 전제가 달리고, ‘혼밥’이란 말은 ‘할 수 없다면’이란 전제가 달린다. 정이 그리워서, 혹은 건강이 염려돼서 많은 사람들이 집밥을 먹으려 한다. 그래서 집밥은 여유로운 삶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저녁이 있는 삶은 집밥과 맞닿아 있다. 아침을 거르지 않을 수 있는 여유 또한 쫓기지 않은 삶에서 나온다. 그러니 다들 할 수만 있다면 집밥을 먹으려 한다. 그러나 혼밥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을 넘어 능동적인 선택이기도 하다. 식구가 없는 상황에서 굳이 밥을 같이 먹을 사람을 찾기도 귀찮다. 때로는 그렇게 같이 밥을 먹는 사람들 때문에 자신의 삶이 침해를 받는다는 느낌을 갖기도 한다. 그러느니 차라리 혼자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즐길 수 있을 만큼 즐겨 보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려는 사람들은 혼밥을 무덤덤하게 받아들인다.
누군가 밥집을 내고자 한다면 <집밥 혼밥집>이란 요상한 조어의 간판을 내거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집에서 하는 혼밥은 초라하기 그지없을 테니 밥집에서 혼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밥집서 먹는 밥이지만 집밥만큼 정성이 깃들어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만약 <집밥 혼밥집>이 시쳇말로 ‘대박’이 난다면 그것은 우리의 삶에 딱 맞아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다소 어색한 조어법이 쓰인 ‘혼밥’도 사전에 올라야 될지 모른다. 물론 그것은 우리의 삶이, 그리고 그 삶의 주인인 우리들이 결정한다. ‘혼밥’이 우리의 삶을 자연스럽게 드러내 주는 말이 된다면 사전의 한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아직은 ‘식구’들과 먹는 ‘집밥’이 더 행복하다.
글_한성우(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이 글은 필자가 2016년에 펴낸 ≪우리 음식의 언어≫(어크로스)에서 일부를 추려 내어 다시 쓴 것이다.
'우리말을 배우자 > 쉼표,마침표(국립국어원 온라인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우리말 - 물건의 특성과 관련된 우리말 (0) | 2022.11.23 |
---|---|
살아 숨 쉬는 지역어 - 김정한 소설 둘러보기 (0) | 2022.11.22 |
문장 다듬기 - 꼭 필요한 내용은 생략하지 말아요! (0) | 2022.11.21 |
방언 말모이 - 가래떡 (0) | 2022.11.21 |
한국어 교육, 그리고 우리 - 천 냥 빚을 갚을 말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