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신라 구산선문의 하나였던 보령 '성주사터'

튼씩이 2023. 1. 30. 12:56
▲ 눈덮인 성주사터, 왼쪽부터 석등-오층석탑-금당기단-3기의 삼층석탑이 있고, 뒷편으로는 낭혜화상(무염)의 탑비가 있는 비각이 있다.

 

▲ 금당에 모셔졌던 불상의 대좌(왼쪽)과 오층석탑

 

▲ 석등- 오층석탑- 금당의 기단

 

▲ 오층석탑과 석등

 

 

계묘년 1월, 호남 충청지역에 많은 눈이 내렸다. 겨울이면 앙상한 가지를 드러낸 산천 풍경이 매우 쓸쓸하고 삭막하다. 특히 융성했던 시절 빽빽하게 들어섰던 건물들은 없어지고 너른 절터에 석탑만이 솟아있는 모습을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겨울에도 눈이 내려 절터를 덮으면, 비록 날씨는 춥지만 황량해 보이던 절터도 포근한 이불을 덮은 듯 따스하게 느껴진다. 충청지역 해안에서 멀지 않은 이곳 보령지역은 신라 선종의 하나로 구산선문의 성주산문을 개창했던 낭혜화상 무염(801~888)이 선불교를 펼쳤던 절터가 있다. 구산선문이란 통일신라시대에 번창했던 불교종파로, 중국의 당나라 시절에 선불교를 개창했던 육조 혜능대사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중국에서 크게 융성했던 종파이다.

 

선종은 불교의 여러 종파 중에서 팔만대장경에 기록된 수많은 불교경전을 무시하지는 않지만, 부처님의 마음을 깨닫는데는 경전공부 보다도 오히려 참선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으면 된다는 것으로, 이는 중국의 육조 혜능대사에서 새롭게 자리잡았다. 혜능대사는 본래 나뭇꾼 출신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으나 어느 날 시장에 나뭇단을 팔러 갔다가 어떤 스님의 말 한마디에 깨달음을 얻은 후 불교에 입문하여, 당시 내노라는 많은 수행자들을 제치고 스승으로 부터 선종의 후계자로 인정받았다.

 

이후 그의 제자들이 중국의 각지역으로 선불교를 퍼트리게 되었고, 신라의 스님들도 중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뒤 신라땅에 선불교를 부흥시켰는데, 이런 신라 선불교의 본산으로 구산선문이 들어서게 되었다.

 

이렇게 세워졌던 성주사는 한때 구산선문 가운데서도 가장 크게 융성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그 명성을 유지하였다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일본군의 방화로 절의 모든 전각들이 불타버린 뒤 다시 중창하지 못하고 말았다. 이후 절터에 남아있던 석조물(석탑, 석등, 석불, 사리탑, 돌기단, 기둥초석 등)은 땅속에 묻히고, 절터는 밭으로 변하였는데, 최근에 발굴조사를 거쳐 석탑과 건물의 기단을 복원하여 오늘의 모습이 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성주사는 중문-탑-금당-강당으로 이어지는 백제시대의 절 배치 양식을 기본으로, 하였는데, 금당 앞에는 5층석탑을 세우고, 금당 뒷편에는 3기의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어, 특이한 구성을 한 가람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