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4일은 24절기를 시작하는 날로, 봄이 온다는 입춘(立春)입니다. 입춘 무렵의 세시풍속으로는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원하는 입춘축(立春祝)을 집 대문이나 대들보ㆍ천장 따위에 붙이지요. 입춘축을 다른 말로는 춘축(春祝), 입춘첩(立春帖), 입춘방(立春榜), 춘련(春聯), 문대(門對), 춘첩자(春帖子), 춘방(春榜), 대련(對聯), 춘첩(春帖)이라고도 합니다.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라고 하며, 전라도에서는 입춘축을 붙이면 “봉사들이 독경하는 것보다 낫다.”라고 하여 입춘에는 꼭 하는 세시풍속이었습니다.
▲ 입춘축을 붙이는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입춘축 가운데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으로 “입춘이 되니 크게 길 할 것이요, 만 가지 일들이 형통하라”라는 뜻이 담겨 있지요. 그밖에 쓰는 말로는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로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부자가 되어라“,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곧 “마당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온다”라는 것도 있는데 온갖 좋은 말은 다 가져다 붙여놓습니다. 전남 구례에서는 입춘축을 "잡귀야 달아나라."라고 써 붙이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하지요.
조선시대 천문ㆍ지리ㆍ날씨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붉은 물감[鏡面朱砂]으로 귀신을 쫓는다는 뜻으로 “神茶鬱壘(신다울루)”라는 글씨를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두었습니다. 신다와 울루, 이 두 신은 귀신들이 다니는 문의 양쪽에 서서 모든 귀신을 살피는데 이때 남을 해치는 귀신이 있으면, 갈대 새끼로 묶어 호랑이에게 먹인다고 믿었습니다. 입춘을 맞으며 우리의 마음에도 입춘축을 붙여볼까요?
▲ 대궐 관상감에나 붙이는 “神茶鬱壘(신다울루)” 입춘축을 붙이는 곳도 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삶 속 말글생활, 이대로 괜찮은가? (0) | 2023.02.07 |
---|---|
(얼레빗 제4793호) 나무를 해도 아홉 짐을 하던 정월대보름 (0) | 2023.02.06 |
엘에이 흥사단 옛본부 건물, 대한민국 품에 (0) | 2023.02.03 |
제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 2 - 고조부모까지의 4대봉사, 그 숨겨진 진실 (0) | 2023.02.03 |
<황기환 지사> 순국 100년 만에 귀국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