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빵집 이름이 인도네시아어 'haus'란다 굳이 그렇게 써야 했나?
▲ 먼진 한옥에 영문 이름의 빵집이라니
▲ 이 빵집의 차림표
장충단공원에 하나뿐인
커피와 디저트 파는 가게에는
멋진 한옥에 간판이 영문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 들르는 손님들을 보면 외국인은 별로 눈에 안 띄고
거의 한국인이다.
그런데 멋지게 한옥을 지어놓고
빵집의 이름이 꼭 영문이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그것도 ‘haus’로 사전을 찾으니
영어도 아니고 인도네시아어로 “목이 마른‘라는 뜻이라는데
별로 없을 것 같은 인도네시아 손님을 위해 그렇게 쓴 것일까?
아무리 빵집이라 해도 제발 우리말을 쓰는 곳이면 좋겠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륜부가 유실된 안동 폐사터 '임하동중앙삼층석탑' (0) | 2023.03.27 |
---|---|
(얼레빗 제4806호) 오늘(3.26.), 한국의용병 참모중장 안중근 순국한 날 (0) | 2023.03.27 |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3, ‘국민’이 아니라 ‘씨알’이다 (0) | 2023.03.24 |
죽음을 각오하고 마치 다이빙하듯이, 일본의 조선인 강제징용 부정에 대한 반박 '시' (1) (1) | 2023.03.23 |
미국 역사학계 호평 최병헌의 영문판 《징비록》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