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조선시대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인 당의가 소장돼 있습니다. 저고리 위에 덧입었었던 당의는 색에 따라 연두ㆍ자주ㆍ남색ㆍ백색 당의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가장 많이 입은 것은 연두당의입니다. 당의에는 보통 겉감을 녹색으로 하고 안감은 붉은빛으로 합니다. 여름에는 당의 속에 슬쩍 비치는 저고리와 치마의 사각거림, 겨울에는 초록 비단에 화려한 금박무늬가 돋보이지요. 여름에 입는 홑당의는 당적삼ㆍ당한삼이라고도 합니다.
▲ 당의(唐衣), 조선, 길이 82.8㎝ㆍ화장 77.0㎝, 국립중앙박물관
당의의 특징은 한복의 곡선미를 강조한 데 있으며 길이는 무릎까지 오고 소매가 좁았습니다. 앞뒤 길이는 저고리 길이의 약 3배 정도가 되며 겨드랑이 아래부터 양옆이 트이고, 맨 아랫부분인 도련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룹니다. 고름은 자주색으로 왼쪽 코깃에 2장을 겹쳐 달고 오른쪽에 짧은 고름을 1장 달지요.
당의는 조선시대 여성 예복의 하나로 왕실에서는 크고 작은 예식과 윗분한테 문안할 때 입었을 뿐만 아니라, 재료와 꾸밈, 구성에 차이를 두어 상궁과 내인(內人)들도 예복으로 입었습니다. 또 양반집 부인들은 입궐할 때 예복으로, 일반인들은 혼례복으로 입기도 하였지요. 당의를 혼례복으로 입을 때는 활옷ㆍ원삼 등을 입을 때처럼 속옷을 갖추어 입은 뒤 치마ㆍ저고리 위에 입었습니다. 머리에는 화관을 썼으며 옷고름에는 노리개를 찼고 비단신을 신었지요.
▲ 당의를 입은 한지민의 모습, MBC 드라마 ‘이산’ 갈무리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5, ‘언어’가 아니라 ‘말’이다! (2) | 2023.04.13 |
---|---|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4, ‘민주주의’가 아니라 ‘임자누림’이다! (0) | 2023.04.13 |
해저갱도의 뜨거운 열기 속에서 탄을 캐던 조선인들, 일본의 조선인 강제징용 부정에 대한 반박 글 (4) (0) | 2023.04.12 |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2, ‘교육’이 아니라 ‘배움’이다! (1) | 2023.04.12 |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1, ‘문화’가 아니라 ‘삶꽃’이다! (1)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