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음악을 지켜온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과 우리 문화의 값어치와 미감을 전하는 아름지기(이사장 신연균)가 만나 유성기음반을 주제로 한 전시 <유성기집, 우리 소리를 보다 House of Records, See the Sound>를 오는 5월 26일(금)부터 6월 30일(금)까지 아름지기 통의동 사옥에서 연다.
이번 전시는 그간 국립국악원 수장고(아카이브)가 수집과 기증 등을 통해 보유한 유성기음반의 음원을 복각해 유성기음반을 소비했던 당시의 공간을 꾸며 관련 자료의 전시와 함께 일반에 공개하기 위해 마련했다. 유성기(Gramophone)는 소리가 녹음된 원반(SP, Standard Play)을 재생하는 장치로, 19세기 전후 조선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는데, 당시 유성기가 있는 집에 삼삼오오 모여 소리를 듣던 곳을 ‘유성기 처소’라고 불렀던 기록이 남아있다.
국립국악원은 이번 전시를 위해 전시공간의 이름을 ‘유성기집’이라 정하고, 실제 ‘유성기 처소’가 많았던 종로구 통의동 인근의 전통문화 전시공간인 아름지기에서 이번 전시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국악원이 소장하고 있는 유성기 음반 가운데 대중들이 쉽게 들을 수 없었던 음반과 명인 명창들의 인기 음반 약 30점의 61개 음원을 당시의 사진과 홍보물 등 관련 자료와 함께 소개하고, 국립국악원 아카이브 누리집(arichive.gugak.go.kr)을 통해서는 그동안 복각했던 50여 점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100여 개 음원을 모두 공개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궁중음악 음반 ‘조선아악’,
이화중선, 임방울, 김소희 등 당대 명창이 부른 ‘춘향가’ 견줘 들어볼 수 있어
이번 전시는 모두 3층으로 구분된 공간에서 유성기음반 관련 자료의 전시와 함께 음원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1층 ‘소리를 기록하다’에서는 국내에 유성기가 소개되고 음반 산업이 시작된 역사와 음반에 담긴 음악과 인물을 소개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궁중음악 음반이자 대중들에게 궁중음악을 널리 알리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던 ‘조선아악朝鮮雅樂(1928)’과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이화중선, 임방울, 김창룡, 박녹주, 김소희 명창 등의 음반을 신문 광고, 노래 가사지, 사진 등의 자료를 통해 유성기 음반이 대중문화와 예술에 끼친 영향과 음악의 문화 변화를 읽어볼 수 있다.
* 빅터 레코드가 제작한 《조선아악》은 궁중음악의 첫 녹음이다. 국립국악원의 전신이자 조선조 장악원의 음악을 이어온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 음악을 녹음한 것. 조선조 궁중에서 연행되는 제례악과 연례악이 다양하게 수록됨
▲ 연계 강연
▲ 연계 공연 계획
▲ 감상 프로그램‘유성기로 듣는 우리 소리
2층은 한옥 풍류방과 오디오룸으로 구분해 한옥 공간에서는 당시 ‘유성기 처소’에서 들었던 유성기 음반을 유성기로 직접 들어볼 수 있게 꾸몄다. 국립국악원은 이번 전시를 위해 1925년 제작된 크레덴자(Credenza) 유성기를 구해 전시 기간 중 낮 2시 30분부터 20분 동안 1930년대와 50년대의 민요 관련 음반을 들려줄 예정이다. 오디오룸에서는 국립국악원이 디지털로 복각한 61개 유성기음반의 음원을 감상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했다.
3층 공간에서는 옛 소리를 활용한 예술가의 음악을 소개한다. 국립국악원 소장 음원을 활용해 제작한 한국관광공사의 ‘강강술래(by 우원재)’를 비롯한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Feel the Rhythm of Korea)’와 국립국악원의 영상 및 전통 음악인 이희문의 작업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전시와 관련한 연계행사 또한 다양하다. 6월 매주 토요일 낮 11시에는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장 배연형, JTBC ‘풍류대장’ 프로듀서인 황교진, 국악음반박물관장 노재명의 강연과 소리꾼 이희문의 토크콘서트를 진행한다. 낮 2시에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들의 <가야금산조>, <대금산조>, <경기잡가>, <판소리> 공연도 차례로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 관람은 무료이고, 전시 연계행사는 아름지기의 네이버 예약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394735/items/5077541?preview=0)
문의(국립국악원 02-580-3375, 아름지기 02-741-8375 )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824호) 생선장수 저고리, 유행을 따랐다 (0) | 2023.05.26 |
---|---|
별을 못 보게 하는 ‘인공조명’도 공해다 (0) | 2023.05.26 |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16, 영어와 중국어의 ‘한글표기법’ 만들기 (0) | 2023.05.24 |
송광사가 오래 품어 온 ‘빼어난 경치’ 50선 (0) | 2023.05.22 |
일본 양심적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우울한 얼굴의 아이》 (2)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