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은 “천자문, 종류가 이렇게나 많아요!” 전(展)을 열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글씨 교본으로서의 천자문(千字文)을 우리나라에서 펴낸 것은 110종이라고 합니다. 서예 대가로 알려진 한석봉(1543~1605)의 목판본 천자문은 정자체인 해서(楷書)의 글씨 교본으로 사용되었고 천자문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책입니다. 그런데 옛날 서당에서 천자문을 배운 바로 뒤는 무슨 책으로 공부했을까요? 그것은 바로 조선 명종 때 학자 박세무(朴世茂)와 민제인(閔齊仁) 쓴 것으로 알려진 《동몽선습(童蒙先習)》이란 책이지요.
▲ 어린이가 천자문 다음으로 공부했던 《동몽선습(童蒙先習)》 춘방판,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책은 《천자문》을 익히고 난 뒤의 아이들이 배우는 초급교재로, 앞에선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의 오륜(五倫)을 설명하였습니다. 그 뒤를 이어 중국의 삼황오제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사와 조선의 단군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를 간단하게나마 썼습니다. 특히 단군, 주몽, 왕건, 마의태자, 이성계 등의 인물들 이야기를 하며 자연스럽게 우리의 역사에도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물론 이 책은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우리나라가 비록 땅은 좁아도 예악(禮樂)과 문물이 중국에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어린이들에게 우리나라 역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 교육을 위한 우리나라 첫 교과서라는 점에서 귀중한 값어치가 있다고 얘기합니다. 이 책의 중요성을 깨달은 영조 임금은 왕세자를 가르치는 책으로 뽑았고, 친히 서문도 썼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22, ‘한글20’을 시각장애인의 문자로 만들자 (0) | 2023.07.03 |
---|---|
(얼레빗 제4833호) 허리의 주름이 아름다운 남성옷 철릭 (0) | 2023.07.02 |
추사 그림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보물 지정 예고 (0) | 2023.06.27 |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21, ‘한글20’, 중국어와 몽골어 병음으로 쓰자 (0) | 2023.06.27 |
동물원이 되어버린 궁궐, 창경궁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