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4항 국어에서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는 ‘-이다’가 붙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의태어 어근 ‘반짝’은 ‘반짝하다’, ‘반짝거리다’, ‘반짝대다’, ‘반짝이다’, ‘반짝반짝하다’와 같은 단어를 형성한다. 이런 경우는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고 어근이 다양한 접사..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2항 (1) 1. 국어에서 어간에 접미사가 규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할 때, 형성된 단어의 의미는 어간과 접미사의 의미가 합해진 결과물인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먹다’에 사동을 나타내는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사동사를 만들 때 사동사의 의미는 어간의 의미와 접미..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14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5항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