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대사전 3

자연과 한글이 하나가 된다, 의왕 갈미한글공원

자연과 한글이 만나면 어떤 모습일까? 갈미한글공원은 의왕시에서 태어난 국어학자 이희승의 업적과 한글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공원으로, 한글을 본따서 만든 조형물과 자연이 있는 휴게공간이다. 한글날에는 의왕시 주민들과 함께 하는 공연, 이벤트 등 다양한 행사가 있어 한글을 기념하는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한글을 테마로 한 갈미한글공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 국어학자 이희승 이희승은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에서 태어나 독립운동가이자 국어학자로 활동하였다. 1910년에 주시경의 조선어강습원을 다니며 을 접해 우리말 연구를 하기로 마음먹었다. 경성대학교 졸업 후, 조선어연구회(조선어학회) 회원으로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을 주도하고 ‘한글맞춤법 통일안(1933)’과 ‘표준어사정(1937)’ 사업에 참여했다. 1942..

우리말을 여행하다 - 의왕시 우리말 여행, 갈미한글공원과 국어학자 이희승

가을이 작별을 고하던 11월 마지막 주, 경기도 의왕시 갈미한글공원을 찾았다. 공원에 도착하니 입구부터 한글 자모를 본뜬 멋들어진 조형물이 맞아 준다. 바쁜 일상을 잠시 머릿속에서 몰아내고 여유롭게 한글공원을 거닐어 봤다. 산책하며 느끼는 한글의 소중함 갈미한글공원은 의왕시에서 태어난 일석(一石) 이희승 선생(1896~1989)의 업적을 기리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만들었다. 공원에는 ‘한글’을 주제로 한 여러 가지 조형물들이 자연과 어우러져 있다. 부담 없이 둘러보기 좋게 트인 공원이다. 아늑해서 인근 주민들이 즐겨 찾는 산책로이기도 하다. 공원 주변으로 모락산 등산로, 백운호수 등이 있어 함께 둘러봐도 좋다. ▲ 조형물 갈미한글공원은 도로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눠져 있다. 도로 왼편에는 한글 조형..

(얼레빗 4474호) 한자말 ‘이면도로’ 대신 우리말 ‘뒤안길’

예전 한 뒤안길에는 “이면도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한 제한속도 하향”이란 기다란 펼침막(현수막)이 붙어있었는데 이면도로, 조성, 하향 같은 한자말로 온통 도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한자말들 가운데 “이면도로”는 국립국어원이 펴낸 《국어대사전》 올림말에 없으며, 대신 에 “‘이면도로’ 대신 순화한 용어 ‘뒷길’만 쓰라”고 되어 있지요. ▲ 펼침막에는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없는 '이면도로'라는 말은 물론, 조성, 하향 등 어려운 한자말로 도배되어 있다. 《국어대사전》에는 “이면도로”가 없는 대신 “이면(裏面)”만 올림말로 설명되어 있는데 그 뜻을 보면 “1. 뒷면, 2. 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고 풀이되어 있지요. 그렇다면 “이면도로”는 “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