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음질 3

‘나전장’보유자’로 박재성ㆍ장철영ㆍ최상훈 인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무형문화재 ‘나전장’ 보유자로 박재성(朴載成, 경남 통영), 장철영(張哲榮, 경남 통영), 최상훈(崔相勳, 서울 성동구)씨를 보유자로 인정하였다. 나전장은 나무로 짠 가구나 기물 위에 무늬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껍질을 갈고 무늬를 오려서 옻칠로 붙이는 기술로, 기법에 따라 끊음질과 줄음질로 나뉜다. * 끊음질: 자개를 실처럼 잘게 자른 ‘상사’를 백골에 붙여 직선 또는 대각선으로 기하학적인 문양을 만드는 기법 * 줄음질: 자개를 실톱, 줄로 문질러서 국화, 대나무, 거북이 등 각종 도안 문양을 만들어 백골에 붙이는 기법 ▲ 나전장 보유자 인정_박재성 씨, _장철영 씨, 최상훈 씨(왼쪽부터) ▲ 박재성 씨는 1967년 집안의 권유로 입문하여 지금까지 55년 동안 나전 기술을 ..

(얼레빗 제4786호) 전 세계 4점뿐인 조선 16세기 나전함 귀국

지난 1월 11일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나라 밖에 있던 조선시대 나전함이 기증되었습니다. 이 나전함은 조선 16세기 나전칠기 공예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수작이라는 평가입니다. 이 기증품과 매우 유사한 조선시대 나전함으로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나전함 1점과 동경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중요문화재 나전함 1점 등 전 세계에 4점만이 남아있는 것으로 희귀한데 그 까닭은 나전함의 소재가 나무여서 임진왜란 등을 겪으며 불에 타서 없어졌을 것이기 때문이지요. ▲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조선 16세기 귀한 나전함 이 나전함은 세로 31cm, 가로 46cm 정도로 귀중품이나 문방구 등을 보관하는 용도였을 것입니다. 칠을 하기 전 함을 직물로 싸, 습기로 나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했는데 이는 주로 고급 칠기를..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악기장 보유자 인정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악기장 보유자 인정 (koya-culture.com)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악기장 보유자 인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보유자로 김성락(金成洛이, 경북 예천군), 김윤경(金允炅, 경기 부천), 유세현(劉世鉉, 경기 파주) 씨를 ▲ 국가 www.koya-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