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4절 단수 표준어 제25항 (2) ⑧ ‘붉으락푸르락/푸르락붉으락’은 두 개가 다 인정될 법도 하다. 그러나 ‘오락가락’이나 ‘들락날락’이 ‘가락오락’이나 ‘날락들락’이 되지 못하듯이 이 종류의 합성어에는 일정한 어순이 있기 때문에, 더 널리 쓰이는 ‘붉으락푸르락’만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쥐락펴락/..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04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4절 단수 표준어 제25항 (1) 제17항과 같은 취지로 단수 표준어를 규정한 것이다. 즉,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이 국어를 풍부하게 하기보다는 혼란을 야기한다는 판단에서 어느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제17항이 발음 변화에 초점을 맞춘 데 비해, 이 조항은 어휘의 기원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초점을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03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4절 단수 표준어 제17항 이 조항은 발음상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둘 이상의 말 중에서 더 일반적으로 쓰이는 형태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았음을 보인 것이다. ① ‘사람이 한 군데에서만 지내다’의 뜻으로 쓰이는 ‘구어박다’는 ‘구워박다’에서 온 말이지만 본뜻과 멀어져 원형을 밝히지 않은 것이다. ②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24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3항 제2장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어휘는 자음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지고 길이가 줄어드는 등의 변화를 입게 된다. 어문 규범을 자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발음에 다소의 변화를 입어도 표준어를 곧바로 바꾸지는 않지만, 발음 변화의 정도가 심..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