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드러기 4

꼬리에 꼬리를 무는 우리말 - 먹거리와 관련된 우리말, 머드러기, 볼가심

머드러기, 볼가심 무슨 뜻일까? 아빠는 먹음직스럽게 생긴 머드러기만 골라 담았다. 머드러기: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과일, 채소, 생선 등을 이르는 말 오전 회의가 오후까지 이어져 식사 대신 빵으로 볼가심했다. 볼가심: 아주 적은 양의 음식으로 시장기나 궁금함을 면하는 일 둘째를 낳느라 고생한 언니를 위해서 성게와 미역을 넣은 첫국밥을 준비했다. 첫국밥: 아이를 낳은 뒤에 산모가 처음으로 먹는 국과 밥 한눈에 보자! '먹거리'와 관련된 우리말! 거섶: 비빔밥에 섞는 나물 곁들이: 주된 음식 옆에 구색을 맞추기 위해 차린 음식 맏물: 과일, 채소, 나물, 해산물 등에서 그해의 맨 처음에 나는 것 머드러기: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과일, 채소, 생선 등을 이르는 말 반기: 잔치나 제사 후에 나누어..

국어 배우기 - 일상 속 오늘의 다듬은 말

궁금한우리말 다듬은 말 알아보기 ‘뼈째회’ 맛있게 먹고, ‘각자내기’ 하자 횟집이나 일식집에서 본 음식이 나오기 전에 밑반찬으로 딸려 나오는 여러 음식을 우리는 흔히 ‘쓰키다시(つきだし)’라고 합니다. 이 말은 ‘곁들이찬’이라는 우리말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곁들이’는 다음과 같은 뜻의 우리말입니다. • 곁들이: 주된 음식의 옆에 구색을 맞추기 위하여 차려 놓은 음식 • 쓰키다시(つきだし) → 곁들이찬 생선 중에서 주로 ‘머드러기’를 골라서 살을 얇게 저며 회를 쳐서 먹습니다. 이것을 ‘사시미’라고 하는데, ‘생선회’라고 바꿔 쓰면 됩니다. • 머드러기: 과일이나 채소, 생선 따위의 많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것 • 사시미(さしみ) → 생선회 전어나 광어, 도다리 새끼 등은 뼈째 ..

[토박이말 살리기]1-97 머드러기

오늘 알려 드릴 토박이말은 '머드러기'입니다. 이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두 가지 뜻이 있는 것으로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먼저 '과일이나 채소, 생선 따위의 많은 것 가운데서 다른 것들에 비해 굵거나 큰 것'이라는 뜻이 있다고 풀이하고 다음 보기를 들었습니다. 수북한 사과 더미 속에서 머드러기만 골라 샀다. 둘째 '여럿 가운데서 가장 좋은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뜻이 있다고 하고 다음과 같은 보기를 들었습니다. 기철이란.... 모두 잘난 체하는 기씨네 중에도 그중 잘난 체하는 머드러기 인물이다.(박종화, 다정불심) 고려대한국어 대사전에는 '많이 있는 과실이나 생선 가운데 아주 굵거나 큰 것'이라는 뜻이 있다고 풀이를 하고 다음 보기를 들었습니다. 아주머니, 그렇게 머드러기만 골라..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사과나 배 같은 과일을 살 때 아무래도 크고 싱싱하고 빛깔이 선명한 것을 고르게 된다. 이처럼 과일 가운데서도 비교적 크고 좋은 것을 순 우리말로 ‘머드러기’라고 한다. 생선을 고를 때에도 마찬가지로 가장 굵고 싱싱한 것을 ‘머드러기’라고 하는데, 이를 사람에 비유해서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을 역시 ‘머드러기’라고 할 수 있다. 새 정부가 출범 100일을 지나면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인사 문제만큼은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고 있다. 각 부처별로 그 분야의 머드러기를 잘 골라 뽑았는지는 앞으로 몇 년 간 지켜보면 밝혀질 것이다. ‘머드러기’와는 반대로, 쓸 만한 것을 골라내고 남은 물건을 잘 알다시피 ‘부스러기’라고 한다. 이 말 역시 사람에 비유해서, 아무 것에도 도움이 전혀 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