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 3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24, 자음ㆍ모음 20개면 어떤 소리도 표기할 수 있어

모음의 기본은 천지인 모음(홀소리)의 기본은 천지인(天地人) 곧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입니다. 하늘은 둥근데 이것을 글자로 표현하기 위해 최대한 작게 하여 둥근 점으로 보입니다. 이 점을 흔히 ‘아래 아’ 라 부르지만, 최근에는 ‘하늘 아’로 부르기도 합니다. 하늘‘아’라 하지만 참 발음은 ‘아’가 아닙니다. ‘하늘 아’의 참 발음 ‘하늘 아’의 참 발음은 무엇일까요? 하늘 아는 가장 자연스러운 소리로써 갓난아이가 말을 배우기 전에 내는 소리로 세종대왕은 이 소리를 모든 모음의 기본이라 했습니다. 우리는 요사이 이 발음을 쓰지 않아 잘 모르고 삽니다. 입에 힘을 하나도 주지 말고 조금 벌린 채 ‘어’하고 발음해 보십시오. 그것은 ‘아’도 아니고 ‘어’도 아니고 ‘오’도 아니죠. 미국 사람들이 사람에 따..

형태소와 이형태

너무나도 당연한 말이지만 일상생활을 할 때에는 일상어가 쉽고 전문어가 어렵다. 일상생활에서는 전문 분야의 엄밀한 용어를 사용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전문어의 뜻이 머릿속에서 바로 해석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개 ‘단어, 문장, 주어’ 등 일상적으로도 자주 쓰는 문법 용어는 쉽다고 생각하고, 이 글에서 설명할 ‘형태소(形態素), 이형태(異形態)’와 같은 말은 어려워한다. 그러나 어떤 전문 분야에서든 넓고 모호한 일상어보다는 좀 더 명확하게 정의된 전문어가 어떤 대상을 잘 설명하는 데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전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쉬운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단어, 문장, 주어’ 등은 문법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아직 이견 없이 통일된 개념 정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 정도로 모호한 ..

문법

문법’이라는 말에는 여러 관점이 들어 있어서 그 사용에서 혼동이 많이 발생한다. 문법은 말과 글의 구성 및 운용상의 규칙을 말한다. ‘문법’의 ‘문(文)’이 ‘글’이라는 뜻이므로 ‘문법’은 글(문자 언어)에 적용되는 것이고 ‘어법’의 ‘어(語)’가 ‘말’이라는 뜻이므로 ‘어법’은 말(음성 언어)에 적용되는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오해이다. 엄밀한 개념으로 ‘문법’과 ‘어법’은 구별되지 않는 말이다. 다만 둘 중에서 ‘문법’이 더 공식적이고 일반적인 용어로 쓰인다. (1)은 구개음화 규칙을 언급한 것이고, (3)은 조사 사용의 원칙을 예시한 것이다. 이것들은 한국어를 모어로 쓰는 사람이라면 의식을 하든 그렇지 않든 누구나 알고 있는 지식이고 평소의 언어생활에서 틀리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는 간혹 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