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신 3

낙락장송으로 남은 지성인 성삼문

단종에 대한 마음을 시조로 읊조렸던 성삼문은 절개와 지조의 상징으로 지금도 널리 추앙받고 있다.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훈민정음의 보급에도 애쓴 성삼문, 그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이 몸이 주거 가셔 무어시 될꼬 하니 봉래산(蓬萊山) 제일봉(第一峯)에 낙락장송(落落長松) 되야 이셔,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 - 성삼문 21세의 젊은 학사 성삼문 성삼문은 조선의 수재였다. 1435년 생원시 합격, 1438년 식년문과 급제, 1447년 문과중시 장원급제…, 성삼문의 화려한 이력이 이를 말해 준다. 세종대왕은 일찌감치 성삼문을 조선을 이끌어 갈 인재로 점찍고 1438년 21세의 성삼문을 집현전 학사로 발탁했다. 그리하여 성삼문은 세종대왕을 보필하며 신숙주, ..

율곡이 칭송한 ‘백세의 스승’ - 김시습, 「산거집구」

율곡이 칭송한 ‘백세의 스승’ - 김시습, 「산거집구」 천산과 만산을 돌아다니고 踏破千山與滿山 골짝 문을 굳게 닫고 흰구름으로 잠갔다 洞門牢鎖白雲關 많은 소나무로 고개 위에 한 칸 집 지으니 萬松嶺上間屋 승려와 흰 구름 서로 보며 한가하다 僧與白雲相對閑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쓴 한시(漢詩) 「산거집구(山居集句)」입니다. ‘집구(集句)’란 이 사람 저 사람의 시에서 한 구절씩 따와 새로운 시를 짓는 것으로, 운자(韻字)도 맞아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창작 이상의 예술혼이 담긴 작품이지요. 이 작품에는 떠돌이 삶을 산 자신의 모습과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된 처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골짝 문을 굳게 닫고 흰구름으로 잠갔다”라든가 “승려와 흰 구름 서로 보며 한가하다”라는 시구에서는 김시습이 뛰어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