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대사 4

(얼레빗 제5075호) ‘부모은중경’ 내용을 부르는 <회심곡>

“살아생전 나라위해 독립운동 실천하신삼각산아 대각사 창건주 용성대선사85주기 추모다례제 음성공양을 올립니다” 지난 3월 23일 낮 11시 서울 종로3가 대한불교조계종 대각사 ‘독립운동가 백용성조사 열반 제85주기 추모음악회’에서 노은주 명창이 용성스님에게 맞게 개사한 회심곡이 울렸습니다. ▲ ‘독립운동가 백용성조사 열반 제85주기 추모음악회’에서 을 부르는 노은주 명창 원래 ‘회심곡(悔心曲)’이란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지었다는 불교음악의 하나로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를 위해 알아듣기 쉬운 한글 사설을 민요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으로, 본격적인 불교음악인 범패에 비하여 음악형식과 사설이 쉽게 짜여 있지요. 그 내용을 보면 “모든 사람은 석가여래의 공덕으로 부모의 몸을 빌려 이 세상에 태어났다가 이생에서 부처..

8월 26일 -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사명대사가 열반하였습니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 정릉천 주변 삼각산(三角山) 동쪽 기슭에는 고려 충숙왕 12년(1325) 자정(慈淨)율사가 청건하여 청봉(靑峰) 아래에 자리 잡았다는 뜻으로 청암사(靑巖寺)라 이름 붙인 절이 있었습니다. 청암사는 명종 5년(1549) 문정왕후가 국가에 경사가 끊이지 않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

(얼레빗) 3266. 사명, 서산, 기허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삼비(三碑)’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7. 경남 밀양에는 사명대사를 기리는 표충비(表忠碑)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1742년 10월 사명대사의 5대손인 남붕선사가 경상북도 경산에서 돌을 가져다가 현재의 자리(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세운 것입니다. 좌대를 포함..

승군대장 서산대사에게 내린 정조의 친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lt;얼레빗으로 빗는 하루&gt;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 11. 踏雪野中去 눈을 밟고 들길을 가면 不須胡亂行 모름지기 아무렇게나 걷지를 말자 今日我行跡 오늘 내가 밟고 간 이 발자국이 遂作後人程 뒷사람이 밟고 갈 길이 될 테니 이는 서산대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