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 전문 (7) - 11. 중괄호, 12, 대괄호 11. 중괄호({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예) 아이들이 모두 학교 {에, 로, 까지} 갔어요. 12. 대괄호([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2.03
문장 부호 해설 - 12. 대괄호([ ]) 종전 규정에는 대괄호가 ‘〔 〕’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개정안에서는 ‘[ ]’로 바뀌었다. 개정 이전부터 ‘〔 〕’는 잘 쓰이지 않고 ‘[ ]’가 주로 쓰여 온 것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형태를 ‘[ ]’로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 〕’를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이나 편집 등..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6
문장 부호 해설 - 10. 소괄호( ( ) ) (1)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예)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예) 2014. 12. 19.(금) (예) 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인 사군자(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는 고결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앞말에 대한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임을 나타낼 때 소괄호를 쓴다.. 우리말을 배우자/문장 부호 해설 202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