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집요 3

(얼레빗 제5013호) 조선의 어린이 교육서, 율곡의 《격몽요결》

《인조실록》 21권, 인조 7년(1629년) 10월 17일 기록에는 “황해 감사 이경용(李景容)이 《격몽요결(擊蒙要訣)》 수백 권을 인쇄하여 올렸는데, 임금이 나라 안팎에 퍼뜨리라고 명하였다. 《격몽요결》은 이이(李珥)가 쓴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책은 책머리에 “뜻을 세우고 몸을 삼가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을 접대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서 이 책을 지었다.”라고 밝히고 있지요. 이 책은 율곡(1536∼1584)이 42살 때인 선조 10년(1577), 관직을 떠나 해주에 있을 때 처음 글을 배우는 아동의 입문교재로 쓰기 위해 펴낸 것입니다. 특히 《격몽요결》은 박세무(朴世茂)가 쓴 《동몽선습(童蒙先習)》과 함께 초학자의 입문서로 많이 읽혀 왔습니다. 중국에서 나온 책인 《소학(小學)》과 달..

세자의 교육 (2) - 최초의 교육, 태교

2. 최초의 교육, 태교 국왕과 왕비가 어렵게 만나 합궁을 하고 왕비가 임신을 한 것이 확인되면, 태아를 위한 태교(胎敎)가 시작되었다. 이이가 작성한 『성학집요(聖學輯要)』의 「교자(敎子, 자식을 가르침)」편을 보면 태교에 관한 구절이 있다. 옛날에는 부인이 아이를 임신하면 옆으로 누워 자지 않고, 비스듬히 앉지 않으며, 한쪽 발로 서지 않고, 맛이 야릇한 음식을 먹지 않았다. 사특한 색깔을 보지 않고, 음란한 소리를 듣지 않으며, 밤이 되면 장님에게 시를 외우고 바른 일을 말하게 하였다. 이는 사대부의 부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태교를 중시하는 것은 왕실이든 민간이든 마찬가지였다. 말하자면 태교는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기 전부터 받는 최초의 교육이라고 하겠다. 태교는 태아가 성장하는 환경을 중시하는..

10월 30일 - 율곡의 <성학집요>는 무엇에 관한 책일까요

이이(李珥, 호는 율곡 1536~1584)는 어머니가 사임당 신 씨이며, 호조·이조·형조·병조판서를 지낸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입니다. 선조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데 필요한 시무육조를 지어 바치고, 왜적에 침입을 대비하도록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 등 개혁안을 주장했고, 동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