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의 공간 3

세자의 공간, 동궁 (3) - 세자 신분의 특수성과 의례

3. 세자 신분의 특수성과 의례 세자는 차기 왕위계승자를 미리 책봉하여 왕권 계승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ʻ사왕嗣王ʼ으로 예정된 인물이다. 따라서 몇가지 특수한 신분적 특징을 갖게 된다.(이효석, 2005 참조) (1) 세자로 책봉되어 즉위하거나, 사망하거나, 폐위될 때까지 존재하는 임시적 존재로서, 항상 존재하는 신분이 아니라 특정 기간동안 존재한다. (2) 세자는 궁궐 내에서 독립적 영역으로 인식되는 동궁이라는 공간에서 생활한다. (3) 세자는 신하의 입장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왕을 대신하는 입장이기도 하여 군신관계 로 보면 양면성을 띤다. (4) 세자는 대개 궁궐 내의 다른 인물들에 비해 나이가 어리다. 먼저, 세자의 재위기간이 연속적이 아니라 일시적이라는 점은 동궁이라는 공간이 항상 동일한 기능으..

세자의 공간, 동궁 (2) - 동궁의 위치와 구성

2. 동궁의 위치와 구성 개념적으로 동쪽에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더라도 그 위치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대 왕조의 궁궐에서는 동궁을 임금의 영역 동쪽에 조성하였다. 자금성 등 중국의 궁궐도 그러하고, 개경의 경우 『고려도경』에 ʻ동쪽 문에는 ʻ春德ʼ이라 편액했는데, 세자궁으로 통한다 ~ 좌춘궁은 회경전 동쪽 춘덕문 안에 있다. 왕의 적장자가 처음으로 책봉되면 세자라 하고, 관례 이후 여기에 거처했는데, 옥우의 제도는 왕궁만 못하다.ʼ라고 하여 세자궁이 명실상부하게 동쪽에 있는 동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동궁 전각은 대체로 ʻ당堂ʼ호를 갖고 있다. 임금의 전각이 ʻ전殿ʼ으로 지칭되는 것과는 차등을 둔 것이다. 경복궁의 경우 임금의 전각은 근정전, 사정전, 강녕전 등으로 ʻ전호ʼ..

세자의 공간, 동궁 (1) - 동궁이란

세자의 공간, 동궁 조 재 모(경북대) 1. 동궁이란 왕세자의 공간을 보통 동궁東宮이라 부른다. 특별히 궁宮이라는 명칭을 쓴 것은 궁궐 내에서도 동궁이 별도의 구역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아래 『예기』의 글이 그 근거가 되었다. 禮記 內則 “由命士以上 父子皆異宮” 이는 왕명을 받은 사士 이상은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 다른 집을 쓴다는 것으로, 동아시아 궁궐에서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되었다. 즉, 동궁은 궁궐 안에 있던 밖에 있던 간에 아버지의 궁과는 별개로 인식되었다. 한편, 세자의 궁을 특별히 동궁이라 하는 것에는 아래와 같은 전거가 인용된다. 孔穎達(唐), “임금은 서궁에 있고 태자는 항상 동궁에 처한다.” 胡培翬(淸), “태자는 곧 장자이니 동궁에 거처하는데, 군주가 서궁에 있다는 것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