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제13항 '딱딱, 쌕쌕' 등은 '딱, 쌕'의 음절이 반복되는 의성어이므로 반복되는 음절을 동일하게 적는다. '딱딱'을 '딱닥'으로 적어도 소리는 동일하지만 '딱딱'이라고 적으면 '딱'이라는 음절이 반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언어 직관에 더 맞는다. '씁쓸하다. 똑딱똑딱, 쓱싹쓱싹' 등도 각각 '씁,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5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2항 '라, 래, 로, 뢰, 루, 르'를 포함하는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나, 내, 노, 뇌, 누, 느'를 포함하는 형태로 실현된다. 이 조항에서는 이처럼 단어 첫머리에서 두음 법칙이 적용될 때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낙관(樂觀) 내년(來年) 노년(老年) 뇌우(雷雨..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4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2)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말이 줄어들어 하나의 단위로 인식될 때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 경우 뒤의 한자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은 '국련'으로 줄여서 쓸 수 있다. '국제'의 '국..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3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1항 (1) 이 조항에서도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한자어 '랴, 려, 례, 료, 류, 리'를 포함하는 음절은 단어 첫머리에 올 때 '야, 여, 예,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 조항에서는 이처럼 단어 첫머리에서 두음 법칙이 적용될 때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고 규정하였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제10항~제12항에서는 국어의 두음 법칙을 규정하였다.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녀, 뇨, 뉴, 니'를 포함하는 한자어 음절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ㄴ'이 나타나지 못하여 '여, 요, 유, 이'의 형태로 실현되는데, 이 조항에서는 이러한 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1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9항 표준 발음법 제5항에서는 'ㅢ'의 발음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①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닐리리] 씌어[씨어] 유희[유히] ②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이]로, 조사 '의'는 [에]로 발음할 수 있다. 주의[주의/주이]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8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는 현실에서 [게, 레, 메, 페, 헤]로 발음되는 일이 있다. 그렇지만 발음이 변화한 것과는 달리 표기는 여전히 'ㅖ'로 굳어저 있으므로 'ㅖ'로 적는다. 조항에서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라고 한 것이 '례'를 [레]로 발음하는 것을 허..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7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나는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을 말한다. 이 받침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가 난다. ① 형태소가 뒤에 오지 않을 때: 밭[받], 빚[빋], 곷[꼳] ②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위에 올 때: 밭과[받꽈], 젖..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6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2절 구개음화 제6항 여기서 말하는 '종속적(從屬的) 관계'란, 실질 형태소인 체언, 어근, 용언 어간 등에 형식 형태소인 조사, 접미사, 어미 등이 결합하는 관계를 말한다. 솥이[소치]: 솥(실질 형태소)+이(형식 형태소) 묻히다[무치다]: 묻-(실질 형태소)+히-(형식 형태소)+-다(형식 형태소) 구개음화 현상에서 후..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5